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엘리트스포츠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선수와의 관계유지, 운동몰입 및 운동수행만족에 미치는 영향 : 대학검도지도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 of Elite Sports Leader’s Non-verbal Communication on Relationships of Athletes, Exercising, Immersion, and Sports Performance Satisfaction : Focused on Kumdo Leaders in University

임해승, 김종우, 신승호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study how nonverbal communication of university kendo leaders affects the relationship of athletes, engaging in exercise, and sports performance satisfaction. Through the snowball sampling, a total of 154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targeted group, university elite players. 127 questionnaires (82.46%) were used as final data, excluding 27 copies that were insincere in response. Using SPSS 23.0,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purpos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patial, semantic language, and physical appeara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mmitment, physical, spatial language, physical appearance on familiarity, and physical, spatial language, and physical appearance on complementarity. Also, physical appearance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behavioral factors. Third, body and spatial language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eam performance. Moreover, complementarity had a notable effect on perception and behavior. Fifth, kindness also had a critical influence on team performance and complementarity on ability utilization. Lastly, exercise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ports performance satisfaction.

한국어

이 연구는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선수의 관계유지, 운동몰입 및 운동수행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온라인 눈덩이표집법을 통하여 2021년도 대한체육회 엘리트스포츠선수로 등록되어 있는 전국 대학검도선수들에 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154부를 회수하였다. 응답이 불성실한 27부를 제외한 127부(82.46%)를 최종자료로 사용하였 다. SPSS 23.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언어, 의미언어, 신체적외양이 헌신에, 신체언어, 공간언어, 신체적외양이 친근감과 상호 보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행위요인에 신체적외양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신체언어, 공간언어가 팀수 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관계유지의 요인 중 상호보완성이 인지와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관계유 지의 요인 중 친근감이 팀수행에, 그리고 상호보완성이 능력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운동몰입은 운동수행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타당도 및 신뢰도
4. 자료처리
Ⅲ. 결과
1. 상관관계 분석
2.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관계유지에 미치는 영향
3.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4.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운동수행만족에 미치는 영향
5. 관계유지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6. 관계유지가 운동수행만족에 미치는 영향
7. 운동몰입이 운동수행만족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1. 대학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선수들과의 관계유지에 미치는 영향
2. 대학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선수들의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3. 대학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선수들과의 운동수행만족에 미치는 영향
4. 관계유지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5. 관계유지가 운동수행만족에 미치는 영향
6. 운동몰입이 운동수행만족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해승 Lim, Hae-Seung. 국민대학교, 석사과정
  • 김종우 Kim, Jong-Woo. 국민대학교, 시간강사
  • 신승호 Shin, Seung-Ho. 국민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김동현, 박진수(2019).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태권도시범단원의 운동지속수행 및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국기원태권도연구, 10(3), 233-254.
  • 2김영미, 한혜원(2005). 댄스스포츠의 재미요인과 여가몰입 및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4(6), 193-202.
  • 3김지영, 주형철, 김주영(2011). 복싱선수들의 자기관리가 운동 몰입과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22(1), 151-162.
  • 4김형진, 윤용진, 조남흥(2014). 골프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운동 몰입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7(1), 45-54.
  • 5남광우, 임요준, 김병주(2018). 유도선수가 지각한 지도자의 의사소통유형과 운동열정 및 운동성과의관계. 대한무도학회지, 20(4), 89-101.
  • 6남상백(2013). 우리나라 국가대표 지도자의 리더십이 지도자 신뢰 및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여가웰니스학회지, 4(2), 1-9.
  • 7대한검도회 홈페이지(2021). http://www.kumdo.org/de ahan_kumdo/d-kumdo1-4.php
  • 8문한식, 조규정(2012). 골프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과몰입 및 운동지속의사와의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5(3), 155-176.
  • 9박상혁, 최마리(2014). 스포츠 탈퇴를 예측하는 코치-선수부합의 영향력. 한국체육학회지, 53(5), 161-170.
  • 10박승권(2016). 볼링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선수들의 지도자신뢰 및 운동태도, 운동몰입,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신대학교 대학원.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