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umbar vertebrae joint’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s according to the squatting depth during barbell back squat exercise. Twenty-three weight training exper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peak relative angle, peak joint force, and peak joint moment of the lumbar vertebrae joint(4th and 5th) according to the squatting depth(quarter vs. half vs. full) during barbell back squat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peak flexion angle of the lumbar vertebrae joint was the largest in the full squat, which is the deepest squatting depth, As for the peak joint force of the lumbar vertebrae joint, the peak shear force in the AP(anterior-posterior) direction and peak compressive force were the highest in the full squat. it is judged that the full squat method generates the highest load at the lumbar joint during barbell back squat exercise and has a higher risk of lumbar spine injury compared to other squatting depths.
한국어
본 연구는 바벨 백 스쿼트 운동 시 스쿼팅 깊이에 따른 요추 관절의 운동학적, 운동역학적 변인을 분석하는데 목적 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웨이트 트레이닝 숙련자 2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바벨 백 스쿼트 운동 시 세 가지의 스쿼팅 깊이 조건인 쿼터, 하프, 풀 스쿼트 방법에 따른 4번, 5번 요추 관절의 최대 상대 각도, 최대 관절 합력, 최대 관절 회전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가장 큰 스쿼팅 깊이인 풀 스쿼트 방법에서 가장 높은 요추 관절의 최대 굴곡 각도를 확인하였으며, 요추 관절의 방향별 최대 관절 합력과 최대 관절 회전력은 풀 스쿼트 방법에서 전후 방향의 최대 전단력과 최대 압축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최대 관절 회전력은 모든 방향에서 가장 높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바벨 백 스쿼트 운동 시 풀 스쿼트 방법은 요추 관절에서 생성된 부하량이 가장 높게 발생하며 다른 스쿼팅 깊이에 비해 요추 손상 위험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실험절차
3. 자료분석
4. 통계자료
Ⅲ. 연구결과
1. 바벨 백 스쿼트 시 스쿼팅 깊이에 따른 요추관절의 운동학적 변인
2. 바벨 백 스쿼트 시 스쿼팅 깊이에 따른 요추관절의 운동역학적 변인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