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e context of post-structuralism,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the new concept of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dealt with in pedagogy is accepted and applied to dance qualitative research. A new concept of validity in dance quality research is being presented, and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validity criteria in qualitative research a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positivism and post-positivism. Second, it is to find out the criteria for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Third, it explores the alternative validity of dance education and presents the validity based on post-positivism. Even if the attributes of validity itself are challenged through research, the core of useless research is validity. Dance education researchers should use appropriate validity tools for creative art styles and aesthetic methods of understanding the world. Post-positivism research and understanding of the body will be able to provide effective standard frameworks and research methods to researchers related to art. The validity characteristic based on post-positivism is that it does not fix the framework of research in dance qualitative research, but is flexible and not bound by a standard framework and is creative feasibility. The attribute of the post-positivism validity to creativity can be a validity suitable for dance qualitative researchers whose body and mind are research-oriented.
한국어
탈구조주의적 맥락에서 교육학에서 다루어지는 질적 연구에서의 새로운 타당도 개념을 무용 질적 연구에 어떻게 수용되고 적용되는지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무용 질적 연구에 있어 타당도의 새로운 개념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 서 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질적 연구에서의 타당도 기준을 실증주의와 후기 실증주의관점에서 알아보는 것이 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 타당도의 준거를 알아보는 것이다. 셋째, 무용 교육의 대안적 타당도를 탐색하고 후기 실증주의 기반한 타당도를 제시하는 것이다. 타당도 자체의 속성이 연구를 통해 도전받을지라도 무용질적 연구의 핵심은 타당도라 할 것이다. 무용 교육 연구자는 창조적인 예술 양식과 세상을 이해하는 심미적 방법에 대해 적합한 타당도 도구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후기 실증주의 연구와 몸에 대한 이해는 예술과 관련된 연구자들에게 효과적인 규준적 틀과 연구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후기 실증주의 기반한 타당도 특징은 무용 질적 연구에서 연구의 틀을 고정시키지 않고 유동적이면서 규준적 틀에 얽매이지 않고 창의적 실현 가능성에 있다. 후기 실증주의 타당도의 창의성에 대한 속성은 몸과 마음이 연구 중심인 무용 질적 연구자들에게 적합한 타당도가 될 수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실증주의 타당도와 후기 실증주의 타당도
Ⅲ. 후기 실증주의: 대안적 타당도
Ⅳ. 무용 질적 연구의 대안적 타당도 탐색: 후기 실증주의 타당도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