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the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this paper compare and analyzed the polysemy between the Korean movement verb ‘oreuda’ and the corresponding Chinese ‘shang’. Firstly, we reviewed the dictionary meaning of the movement verbs ‘oreuda’ and ‘shang’ and set their prototypical meaning. Then for the various meanings of the two verbs, they roughly divided into eight types: ‘vertical movement’, ‘rise’, ‘arrival’, ‘existence’, ‘appearence¹’, ‘appearence²’, ‘addition’, ‘submissi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image schema, this paper also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chema, and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xtended form and cognitive process of the meanings which possess the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ach schema. On the basis of these schema we found out how the meanings which belong to those type are extended from the prototypical meaning and contast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extended form between ‘oreuda’ and ‘sha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olysemy and identifying the causes of expansion in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Korean-Chinese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acquiring the various meanings of polysemous word.
한국어
본고는 인지언어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이동동사 ‘오르다’와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上’의 다의적 의미 관계를 대조 분석하였다. 먼저 이동동사 ‘오르다’와 ‘上’의 사전적 의미를 검토하고 이들의 원형의미를 설정했다. 다 음 두 동사의 다양한 의미에 대해 크게 ‘수직이동’, ‘상승과 높아짐’, ‘도달’, ‘존재’, ‘출현¹’, ‘출 현²’,‘첨가’, ‘제출’ 8가지 도식을 추출하면서 영상도식 이론을 사용하여 도식적 특성을 살펴보 고, 각 도식에 따라 그 특성이 보이는 의미들의 확장양상 및 인지과정을 대조 분석하였다. 그중 ‘수직이동’은 원형의미로부터 도식화된 것으로 다양한 단계로 이루어진 과정으로 보일 수 있다. 이런 과정의 특정 일부로서 ‘상승’과 ‘도달’이 있는데 ‘상승’에서는 한국어의 의미 확 장만 보이고 ‘도달’에서는 중국어의 확장만 보인다. 이동 과정의 결과 상태로서 ‘존재’와 ‘출현 ¹’이 있는데 ‘출현¹’에서는 공통적인 확장이 보이는 반면 ‘존재’에서는 한국어의 의미 확장양상 을 보여주었다. ‘출현²’에서는 모두 ‘(무대, 식탁)꼭대기→표면→몸, 신체부위→화제→기록, 출판물’의 은유적 확장양상으로 나타났다. ‘첨가’와 ‘제출’에서 중국어의 확장이 훨씬 발달하여 다양한 타동성의 의미로 쓰이고 있는데 그 동기화 방식에서 차이가 난다. ‘첨가’는 환유와 은 유에 의한 확장이며 ‘제출’은 특정 사태 구조에 대한 해석적 차이로 인한 확장이다. 본고의 다의관계에 대한 대조 분석을 통하여 한·중 이동동사 ‘오르다’와 ‘上’의 다의적 확 장양상 및 인지과정을 규명함으로써 한·중 언어 교육, 특히 다의어의 습득에 도움이 될 것으 로 기대한다.
목차
1. 서론
2. 사전적 의미 분석 및 이론적 배경
3. ‘오르다’와 ‘上’의 원형의미
4. ‘오르다’와 ‘上’의 다의관계 대조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