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군 유휴시설 문화재생의 특성 및 한계 - 캠프 그리브스, 평화문화진지, 탄약정비공장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Cultural Regeneration in Idle Military Facilities - Focused on Camp Greaves, Peace Culture Bunker, and Ammunition Maintenance Plant -

박미연, 김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umber of cases of cultural regeneration using idle military facilities in Korea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draw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le military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regeneration, and to point out the limitations and development plans. For this purpose, various researches were conducted, including collecting related documents and records, direct observation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through field participation, and one-on-one in-depth interview. From this study, in the idle military facilities to which cultural regeneration was applied, the historicity of the Korean War and division, and the historicity and spatiality of ideological conflicts and Cold War ideologies were revealed through the buildings and structures of military facilities. In addition, professionalism was emphasized through specialized art programs that revealed the keywords of war, division, and peace. On the other hand, the closed structures of military facilities and the locations isolated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howed limitations in accessibility. In addition, th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ownership from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o the local government, lack of professional publicity measures, and the need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art programs were derived as limita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using idle military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regeneration.

한국어

국내에서 군 유휴시설을 활용한 문화재생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화재생 관점에서 군 유휴시설의 특성을 도출하며, 한계점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서 및 기록물 수집, 현장 참여를 통한 직접 관찰과 참여 관찰, 일대일 심층면접 등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재 생이 적용된 군 유휴시설은 건축물과 구조물을 통해 6·25전쟁과 분단 상황이라는 역사성과 냉전 이데올로기라는 장소성이 드러나고 있었다. 또한 전쟁, 분단, 평화를 키워드로 한 예술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반면 군사시설의 폐 쇄적 구조와 주변 환경과 격리된 입지로 인해 접근성 측면에서 한계를 보였다. 또 한 국방부에서 관으로 소유권 이전시 절차의 복잡함, 전문적인 홍보 부족, 예술 프 로그램의 전문성 강화 필요 등이 한계점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가 문화재생 관점 에서 군 유휴시설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있어 학술적, 실무적으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군 유휴시설의 개념과 발생 원인
2. 문화공간과 문화재생
3. 문화재생공간 특성
Ⅲ. 국내 사례
1. 캠프 그리브스
2. 평화문화진지
3. 탄약정비공장
Ⅳ. 사례 분석
1. 연구 문제
2. 연구 방법
3. 분석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미연 Park, Miyoun.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박사과정
  • 김선영 Kim, Sunyoung.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