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의 특징과 조성 배경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the construction of the stupa of Monk Pyeonun in Silsangsa Temple

진정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cceptance and spread of Seon (Zen) Buddhism in the Unified-Silla dynasty Buddhist world became an important change factor in Silla society, but the first official approval of the Silla royal family was the Seon-mun (Zen School), which was founded by Monk Hongcheok, who returned from Tang in 826. For that reason, the Buddhist art of Silsangsa Temple was the mother's womb of Silla Seon (Zen) Buddhist art. Among them, the stupa of Monk Pyeonun in Silsangsa Temple in Namwon, designated as a 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Jeollabuk-do province,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only material inscribed with the era name of the later Baekje as well as the originality of the form, but research on it is insufficient.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origins of the stupa of Monk Pyeonun in Silsangsa Temple were examined, and the background of the construction was revealed focusing on the stupa of Monk Pyeonun. Looking at the current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pa, it can be said that the stupa of Monk Pyeonun borrowed the circular plane of stone lanterns in Silsangsa Temple, of the Silsangsanmun (Zen School of Silsang), while imitating and reproducing the stupa of Monk Hongcheok of the master of the Silsangsanmun (Zen School of Silsang). The construction of the stupa of Monk Sucheol in 905 and the construction of the stupa of Monk Pyeonun in 910 were one of the strategies of the Silla royal family and the Silsangsa Temple, which became chaotic after the founding of Later Baekje in 901. Built in 905, the stupa of Monk Sucheol was built by the pro-Silla forces in Silsangsa Temple, sponsored by the Silla royal family. However, the stupa of Monk Pyeonun, which was built in 910 years, was inscribed with the era name of the later Baekje, but it is presumed that Silsangsa Temple was not sponsored by the later Baekje, as it was already recognized as a pro-Silla force. For that reason, it is believed that it took a different form the typical form of stupa.

한국어

신라 하대 불교계에서 선종의 유입·확산은 신라 사회의 중요한 변화 요인 이 되었는데, 가장 먼저 신라 왕실의 공인을 받은 것은 826년 당에서 귀국한 홍척이 개창한 실상산문이었다. 그런 만큼 실상사의 불교미술품은 신라 선종 미술의 모태였다. 그 가운데에서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남원 실상 사 편운화상탑은 형태의 독창성뿐만 아니라 후백제 연호가 새겨진 유일한 자 료로서 주목되나, 그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본고에서 실상사 편운화상탑의 특징 및 조형적 원류를 살펴보고, 편운화상탑 명문을 중심으로 조성 배경을 밝혀보았다. 편운화상탑의 현상과 특징을 살펴볼 때, 편운화상탑은 이 승탑이 실상산문 의 정통성을 계승하고 있다는 것을 극명하게 내세우기 위해, 실상산문의 상 징과도 같은 석등의 원형평면을 다시 사용하는 한편, 스승인 홍척의 승탑인 증각대사탑을 모방·재현하려고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후삼국기인 905년 수철화상탑의 조성과 910년 편운화상탑의 조성은 후백 제 건국 이후, 더 엄밀히 말하면 901년 후백제의 대야성 침공 이후 신라 왕 실과 후백제 사이에서 혼돈에 빠진 실상사 내 세력들의 대응 전략 가운데 하나였다. 다만, 실상사 내 친신라 세력이 905년 수철화상탑을 조성할 당시 신 라 왕실의 후원을 받았던 것과 달리, 친후백제 세력이 산문을 개창한 홍척의 제자 편운이 910년 입적한 것을 계기로 편운화상탑을 조성하지만, 이미 친신 라 세력으로 낙인찍힌 실상산문은 후백제 정권이 의도적으로 배제와 무시를 받아 변변한 후원을 받지 못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편운화상탑의 현상과 특징
Ⅲ. 편운화상탑의 조형적 원류
Ⅳ. 편운화상탑의 조성 배경
Ⅴ.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진정환 Jin, Joung-hwan. 국립익산박물관 학예연구실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