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장년층 모바일 숏폼 동영상 과다사용 행위의 영향요인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Overuse of the Seniors 's Mobile Short Form Video

한정, 배승주, 권만우, 이상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cusing on the TikTok, this paper studi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intention, flow and addiction of the elderly in short videos from three aspects of media attrac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characteristics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recent year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more and more seniors have begun to indulge in short form videos, which will do harm to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refore, the researchers believ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behavioral intention of seniors and the path to addic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attractiveness of TikTok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usefulness of media. In addition, the study confirms that media usefulness has an impact on use intention and use behavior, which may develop into immersion and addiction. This study not only supplements the classical TAM theory, but also provides a reference for helping seniors to use the Internet in a healthy way. The researchers look forward to expanding the research on the various Internet platforms used by seniors in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한국어

본 연구는 숏폼 동영상 플랫폼 TikTok을 중심으로 미디어 매력성, 미디어 유용성, 이용자 특성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중장년층의 사용 의도, 몰입,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량적 연구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최근 중장년 층의 숏폼 동영상에 대한 이용자수가 늘어남에 따라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에 대한 위험성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중장년층의 숏폼 동영상 이용의도와 중독 경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연구 결과 TikTok의 매력성과 중장년 이용자의 특성이 매체의 유용성에 적극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또한 미디어의 유용성이 사용의도와 사용행위에 영향을 미치고 몰입과 중독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전적인 TAM 이론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중장년층이 인터넷을 건강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참고가 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더 많은 지역의 중장년층의 다양한 인터넷 사용을 위한 미디어 서비스 연구가 확대되길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매력성
2.2 지각된 유용성
2.3 중장년층 사용자의 특징
2.4 몰입 및 중독
3.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의 도출
3.1 매력성과 지각된 유용성
3.2 중장년층 이용자의 특성과 지각된 유용성
3.3 지각된 유용성, 사용의도 및 적극적 사용
3.4 사용의도, 적극적 사용, 몰입 및 중독
3.5 연구모형
3.6 연구방법
4. 연구결과
4.1 표분의 특성
4.2 실증모형의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4.3 구조모형의 가설 검정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한정 Jing Han. 경성대학교 언론홍보학과 박사과정
  • 배승주 Seung-Ju Bae. 경성대학교 외래교수
  • 권만우 Mahn-Woo Kwon. 경성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교수
  • 이상호 Sang-Ho Lee. 경성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