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emphasized that the importance of work-family conflict elements such as time-based conflict, strain-based conflict, behavior-based conflict and verify the effects of these three elemen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autonom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ehavioral-based conflict, a element of work-family conflic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ime-based conflict and strain-based conflict were verified to have no effect. Second, strain-based conflict and behavior-based conflict, which are elements of family-work conflict,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ime-based conflict was verified to have no effect. Third, job autonomy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based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work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found that job autonomy had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in-based conflict, behavior-based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가정 갈등의 하위요인인 시간 근거, 긴장 근거, 행동 근거 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중국 내 서비스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가정 갈등의 하위요인인 행동 근거 갈등은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근거 갈등과 긴장 근거 갈등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직장 갈등의 하위요인인 긴장-근거 갈등과 행동 근거 갈등은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근거 갈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직장-가정 갈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자율성은 행동 근거 갈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직장 갈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긴장 근거 갈등, 행동 근거 갈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은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3개 하위요인 중에서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밝혔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및 연구가설의 설정
2.1 Greenhaus & Beutell의 직장-가정 갈등 이론
2.2 직장-가정 갈등과 조직몰입
2.3 가정-직장 갈등과 조직몰입
2.4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
3.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3.1 변수의 측정
3.2 분석방법
4. 실증분석
4.1 인구통계학적 분석
4.2 신뢰성 및 타당도 분석
4.3 상관관계 분석
4.4 가설검증
5. 결론
5.1 결과 및 시사점
5.2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