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process and performance of cooperation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cases of collaboration to resolve conflict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military facilities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zone in P city. In addition, through this, factors affecting collaboration were derived. The collaboration case with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rea of P c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n excellent case of collabor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in the collaboration. Through these in-depth interviews, the background, collaboration process, performance and success factors of the collaboration task within the P city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rea were examined. The success factors of cooperation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military facilities in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zone of P city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form a consensus for collaboration, and for this,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 common goal of community development. Second, support at the institutional level is essential to successfully induce collaboration. Not only the head of the institution, but also the middle managers need interest in collaboration and various support for it. Third,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 between collaboration participants is very important. For collaboration, formal as well as informal communication are important. Through thes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it can contribute to inducing collaboration in the local community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P시에서의 문화재보호구역 내 군시설 설치와 관련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협업 사례를 분석하여 협업의 실질적인 추진과정 및 성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협업에의 영향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P시 문화재 보호구역내 협업사례는 협업의 우수사례로서, 해당 협업에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 였다. 이러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P시 문화재보호구역 내 협업과제의 추진배경, 협업과정, 협업의 성과 및 성공요인들을 살펴보았다. P시 문화재보호구역 내 군시설 설치와 관련된 협업 성공요인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협업의 공감 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지역사회발전이라는 공동의 목표의식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협업을 성공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기관차원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기관장 뿐 아니라 중간관리자들이 협업에 대한 관심과 이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협업 참여자간 공식적인 의사소통 및 비공식적인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다. 협업 을 위해서는 공식적인 의사소통 뿐 아니라 비공식적인 의사소통도 중요하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지역 사회에서의 협업을 유도하는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협업의 의의
2.1 협업의 개념
2.2 협업의 중요성과 영향요인
3. 연구방법 및 대상
3.1 연구방법
3.2 연구대상
4. 협업사례 연구
4.1 협업의 추진배경
4.2 협업 유도 과정
4.3 협업의 성과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