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Analysis of Humor from the Perspective of Incongruity Theory : Focusing on a YouTube Parody Video Titled ‘Parodysite’

원문정보

‘Parodysite’ 유튜브 동영상에 나타난 유머 분석 : 부조화 이론의 관점에서

이서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amed with a perspective of incongruity theory,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joke mechanism to understand humor in the parody video.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parody video titled ‘Parodysite’ created in early 2020. The researcher analyzed humor in the parody video based on two distinct components: set-ups and punchlines, and further explored the humor process of incongruity and resolution. The results reveal that for a punchline the two comedians in the parody video use linguistic elements such as phonological and semantic puns. The findings also confirm that the basic two components (set-ups and punchlines) serve well as a theoretical construct to understand humor presented in the parody video.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패러디 동영상에 담긴 유머를 부조화 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 는 것이다. 이를 위해 봉준호 감독의 아카데미 수상 소감 패러디로 화제가 되었던 동영상을 중심으로 영상 속 코미디언들의 언어를 셋업과 펀치라인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 나누어 분석했다. 그 결과 코미디언들은 다양한 말장난(puns)을 펀치라인 으로 이용했으며 펀치라인에서 생긴 부조화와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유머가 발 생했다. 본 연구는 유머를 유발하고 웃음에 기여하는 언어학적 기제를 부조화 이론 을 통해 분석을 시도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Incongruity Theory: Set-up and Punchline
Ⅲ. Incongruity in Parody Video
Ⅳ. Conclusion
Reference
국문초록

저자정보

  • 이서라 Lee Surah. Ph.D. Candidate, Dankook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