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mparison of Positive Rumination and Savo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Life Event and Bipolar Symptoms : Focusing on the Activation Level of Positive Emotion
초록
영어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life events and bipolar symptoms (BS), positive rumination (PR) reinforces the BS, whereas savoring plays a discriminatory role in alleviating the BS. In this study, it was assumed that PR and savoring, which are similar upregulation strategies for positive emotions (PE), have opposite effects because the level of activation PE induced by each is different. In other words, we tri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responding with the PR leads to BS through inducing high-activation PE, while responding with savoring reduces BS through creating a low-activation arousal state. For this examination, Positive Life Events Scale, Extended Responses to Positive Affect Questionnaire (E-RPA), Savoring Beliefs Inventory (SBI), Emotional Experience Checklist which are measures based on the circumplex model of affect and Internal State Scale (ISS), Bipolar Spectrum Diagnosis Scale (BSDS) were administered via online survey to 308 cyber university students. As results of applying SPSS PROCESS macro model No. 82, parallel and serial mediation models were supported as assumed when measuring the current BS as a dependent variable. Responding to positive life events with the PR led to high-activation PE and increased BS, while responding with savoring led to low-activation PE and decreased symptoms.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past bipolar history as a dependent measure, only the path of savoring and low-activation PE was established among the two mediated paths. These findings confirm that the level of activation of PE can act as a subsequent mechanism for savoring and PR to have conflicting adaptive results. The possibility of an low-activation PE intervention focused on savoring for bipolar disorder was discusse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한국어
긍정 생활사건과 양극성 증상의 관계에서 긍정 반추는 그 증상을 강화하지만 향유는 완화하는 차별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 정서에 대한 유사한 상향 조절 전략인 긍정 반추와 향유가 정반대의 효과를 보이는 것이 각각이 유발하는 긍정 정서의 활성화 수준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가정하였다. 즉, 긍정 반추로 반응하면 고활성화된 긍정 정서 를 유발해 양극성 증상으로 이어지나, 향유로 반응하면 저활성화 각성 상태를 생성해서 양극성 증상은 감소한다는 가 설을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사이버대생 308명을 대상으로 긍정 생활사건 척도, 긍정정서 반응척도 확장판, 향유 신념 척도, 정서원형모형에 따른 측정치인 정서경험표, 양극성 증상을 측정하는 내적 상태 척도와 양극성 스펙트럼 진 단 척도 등을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SPSS process macro 82번을 적용한 결과, 현재의 양극성 증상을 종속 측정치로 했을 때 가정한 대로 병렬 및 직렬 매개 모형이 지지되었다. 긍정 생활사건에 긍정 반추로 반응하면 고활성화 긍정 정서로 이어져 양극성 증상을 증가시키나, 향유로 반응하면 저활성화 긍정 정서로 이어져 양극성 증상은 감소했다. 한편 과거 양극성 병력을 종속 측정치로 했을 때는 두 매개 경로 중 향유와 저활성화 긍정 정서의 경로만이 성립했다. 이러한 발 견을 통해 향유와 긍정 반추가 상반되는 적응적 결과를 가져오는 후속 기제로서 긍정 정서의 활성화 수준이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극성 장애를 위한, 향유에 초점을 맞춘 저활성화 긍정 정서 개입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 으며,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
목차
방법
참여자
측정 도구
자료 분석
결과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
과거의 양극성 증상을 종속변인으로 한 병렬 및 직렬 매개효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