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Influence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on Self-harm Behavior of Female Adolescents :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through emotional intensit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on female adolescents' self-harm behavior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moderated by emotional intensity in these relationships. To verify this, the Psychological Control Scale (Youth Self Report: PCSYSR), Self-Harm Inventory (SHI),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ISS), and the Affect Intensity Measure (AIM) were administered to 555 high school girls (15-16 years old) in Incheon-based female high school.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internalized shame, and female adolescents' self-harm behavio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significantly predicted female adolescents' self-harm behavior. Third, internalized shame showe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female adolescents' self-harm behavior. Fourth,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nsity show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indirect path leading to self-harm behavior by internalized shame.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emotional intensity increased the influence of internalized shame on self-injury more than the low level of emotional intens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청소년의 자해행동에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두 변인의 관계에서 정서강도에 의해 조절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인 천에 있는 여자고등학교 고1(만15-16세) 55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 Report: PCSYSR), 자해행동 척도(Self-Harm Inventory:SHI),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nternalized Shame Scale: ISS), 그리고 정서강도 척도(Affect Intensity Measure: AIM)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여자청소년의 자해행동 및 내면화된 수치심은 서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의 자해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여자청소년의 자해행동 사이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정서강도는 내면화 된 수치심이 자해행동에 이르는 간접경로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높은 수준의 정서강도는 낮은 수준의 정서강도에 비해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해에 미치는 영향력을 더 증 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 였다.
목차
방법
연구대상 및 절차
측정도구
결과
분석 방법
기초자료분석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여자청소년의 자해행동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내면화된 수치심이 여자청소년의 자해행동에서 정서강도 조절효과 검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