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판 차원적 무쾌감증 평정 척도(DARS)의 타당화 연구

원문정보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Dimensional Anhedonia Rating Scale (DARS)

박지혜, 이훈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Dimensional Anhedonia Rating Scale (DARS), designed to measure various dimensions of anhedonia. The study sample included 290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 conduct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half of the randomly selected dat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the remaining half. According to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Korean version of DARS had same four factors identified in Rizvi et al. (2015). The factors we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four types of rewards: pastimes/hobbies, food/drinks, social activities, and sensory experience.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4 factor model showed a reasonable model fit. In addition, the fit of the hierarchical factor model consisting of 4 lower factor and 1 higher order factor was acceptable, and it was concluded that it is reasonable to use the total score to measure anhedonia. The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DARS and its subscales was excellent level. The DARS showed good convergent, concurrent and divergent validity. This result indicated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and suggest that the DARS can be usefully used for future research to measure anhedonia.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한국어

본 연구는 무쾌감증의 다양한 차원을 측정하도록 고안된 한국판 차원적 무쾌감증 평정 척도(Korean version of Dimensional Anhedonia Rating Scale: DARS)를 타당화하였다. 290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차원 적 무쾌감증 평정 척도를 시행하였다. 교차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무작위로 추출한 표본의 절반은 탐색적 요인분석, 나머지 절반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Rizvi 등(2015)이 개발한 원 척도의 요인구조와 동일한 요인구조를 나타냈다. DARS는 보상의 유형에 따라 취미, 음식/음료, 사교 활동, 감각 경험과 관련된 무쾌감증으로 구분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본 척도가 4요인으로 이루어졌음을 재검증하였다. 또한 4개의 1차 요인들과 무쾌감증이라는 2차 요인으로 이루어진 위계적 4요인 모형도 적합 한 것으로 나타나, 무쾌감증을 측정하기 위해 총점을 사용하는 것도 타당하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차원 적 무쾌감증 평정 척도의 신뢰도와 수렴, 공존 및 변별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원적 무쾌감 증 평정 척도는 무쾌감증을 측정하기 위한 신뢰로운 도구로 향후 국내 무쾌감증의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참여자
측정도구
절차 및 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도 분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지혜 Jihye Park.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이훈진 Hoon-Jin Lee.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