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서인식명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반추와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Depress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and Self-efficacy

오예람, 송원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rumination(brooding/reflection)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depression among adult. For this, 261 participants across the country conducted the survey through online forms.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include TMMS, K-RRS, SES, and CES-D. For the collected data, SPSS(23.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bootstrapping was performed by using PROCESS Macro(ver.3.4)’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clarity, rumination(brooding/reflection), self-efficacy, depression had meaningful correlations. Secondly, emotional clarity affects depression,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and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Third, emotional clarity affect depression, mediating effect of brooding, and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Fourth, emotional clarity affect depression, reflection, and self-efficacy did not mediated. This study revealed that rumination and self-efficacy are dually mediated in emotional clarity and depression. In addition to this, when rumination was divided into brooding and reflection, different mediation results have appeared. As a result, the significance, limitation, and sugges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한국어

이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반추와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해 우울이 발생 및 유지되는 심리적 과정을 정서와 인지, 행동 방향성의 순서에 따라 통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전국의 성인 26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은 특질 상위-기분 척도(TMMS), 반추적 반응 척도(K-RRS), 자기효능감 척도(SES), 우울 척도(CES-D)로 구성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해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확인하였고, PROCESS Macro 3.4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사용해 간접 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명확성과 반추 및 반추의 하위척도인 자책 과 숙고, 자기효능감, 우울은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반추와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 사이에서 자책과 자기효능감의 이 중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 사이에서 숙고와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 효과는 유 의하지 않았다.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써 정서인식명확성과 반추,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확인하였고, 반추를 자책과 숙고, 두 가지 하위차원으로 나누었을 때 서로 다른 효과가 나타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을 경험하는 성인에게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치료적 방향의 기초를 강구하였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나아가 시사점과 한계점, 치료적 방안을 모색하였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 언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자료 분석
결과
기술통계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이중매개 효과 검증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반추와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책과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숙고와 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예람 Yeram Oh. 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
  • 송원영 Wonyoung Song. 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