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계획적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비자 선택 행동결정에 관한 연구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nsumer behavioral decisions based 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functional cosmetic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as empirically examined for this purpose. Method: As a theoretical model, behavioral studies 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functional cosmetics were proposed based on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 After determining the selection attributes of functional cosmetics,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leading to purchase.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hich are sub-element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the higher the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 of functional cosmetics. At this time, it was discovere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mong the TPB, the higher the behavioral intention. Furthermore, as the behavioral intention increased, so did the preference for wrinkle improvement, whitening improvement and UV protection among the functional cosmetic selection attributes. In this case, wrinkle improvement was discovere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functional cosmetic selection attributes. Conclusion: Recently, as the scope of functional cosmetics has expanded and consumer interest has increased,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consumers for the use of functional cosmetics have diversified, as have the functional selection properties. Therefore, it is critical to carefully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for functional cosmetics. While most previous studies related to functional cosmetics focused solely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process of behavioral intention that determines consumer behavior leading to the purchase of functional cosmetics in greater detail.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기능성 화장품의 선택속성에 따른 소비자의 행동결정을 규명하기 위한 소비자들의 태도, 주관적 규범 및 지각된 행 동통제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이론적 모형은 Ajzen의 계획행동이론을 바탕으로 기능성 화장품 선택속성 에 관한 행동연구를 제안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소비자의 기능성 화장품 선택속성 결정 후 구 매로 이어지는 행동의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적용하였다. 결과: 계획행동이론의 하위요인 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가 높을수록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자 행동의도는 증가한다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때 계획행 동이론 중 지각된 행동통제가 높을수록 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의도가 증가할수록 기능성화장품 선택속성 중 주름개선, 미백개선, 자외선 차단선호는 증가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기능성 화장품 선택속성의 구조적 관계에서 주름개선이 소비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최근 기능성 화장품 범위가 확대되고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 능성 화장품 사용에 대한 소비자 니즈와 기대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고 그에 따른 기능적 선택속성도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기능성 화장품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소비자의 특성을 면밀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기능성 화장품 관련 기존 선행연구들 이 대부분 소비자의 구매행동에만 초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기능성 화장품의 구매로 이어지는 소비자의 행동을 결정짓는 행동의 도를 보다 세부적으로 파악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중국어
目的: 本研究旨在根据功能性化妆品的选择属性确定消费者行为决策。为此目的,对消费者态度、主观规范和感 知行为控制之间的结构关系进行了实证检验。方法: 作为理论模型,基于Ajzen的计划行为理论提出功能性化妆 品选择属性的行为学研究,收集的数据使用SPSS 22进行分析。确定功能性化妆品的选择属性后,进行相关性分 析了解导致购买的消费者行为意图之间的相关性。结果: 事实证明,作为计划行为理论(TPB)的子要素的态度、 主观规范和感知行为控制越高,功能性化妆品的消费者行为意向就越高。此时发现,TPB中感知到的行为控制 越高,行为意向就越高。此外,随着行为意向的增加,功能性化妆品选择属性中对改善皱纹、改善美白和防紫 外线的偏好也增加。在这种情况下,在功能性化妆品选择属性的结构关系中,发现皱纹改善对消费者行为意向 的影响最大。结论: 近年来,随着功能性化妆品范围的扩大和消费者兴趣的增加,消费者对功能性化妆品的使用 需求和期望呈现多样化,功能选择特性也随之多样化。因此,仔细考虑消费者的特点来制定功能性化妆品的营 销策略至关重要。虽然之前大多数与功能性化妆品相关的研究都只关注消费者的购买行为,但这项研究的意义 在于它更详细地确定了决定消费者行为的行为意向过程,从而导致购买功能性化妆品。
목차
Introduction
Methods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연구방법 및 가설설정
3. 측정도구
4. 분석방법
Results and Discussion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
2. 기능성 화장품 구매 인식 분석
3. 변수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4. 판별타당성 및 상관관계 검증
5. 계획행동이론과 기능성 화장품 선택속성 구조모형 분석 결과
6. 가설의 검증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中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