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Potential Antioxidant and Antiphotoaging Effects of Fagopyrum esculentum Honey on Human Dermal Fibroblasts

원문정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메밀꿀의 항산화 효과 및 광노화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Hye-Bin Kim, Sungkwan An, Seunghee Ba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use of Fagopyrum esculentum (F. esculentum) honey as a functional skin cosmetic by examining its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Methods: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 esculentum honey were analyzed. HDF cell viability was examined after treatment with F. esculentum honey and expression of genes encoding collage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was measured by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analysis. Results: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showed that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 esculentum hone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qRT-PCR analysis revealed an increase in mRNA expression of the collagen-producing genes, collagen type I alpha 1 chain (COL1A1 ) and collagen type III alpha 1 chain (COL3A1 ), whereas MMP1 and MMP3 expression decreased in HDFs treated with F. esculentum honey. Furthermore, F. esculentum honey protected HDFs from ultraviolet (UV) irradiation-induced cytotoxicity and re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Expression of COL1A1 and COL3A1 , which was reduced by UV irradiation, was restor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hereas expression of MMP1 and MMP3 , which was increased by UV irradiation, was reduc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HDFs pretreated with F. esculentum honey.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 esculentum honey is a natural antioxidant that is enriched in phenols and flavonoids and has the potential to act as an antiaging cosmetic ingredient due to its protective effects on UV irradiationdamaged skin cells.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메밀꿀(F. esculentum honey)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DFs) 내의 콜라겐 및 콜라겐분해효소 발현 여부를 통해 자 외선(UV) 조사에서도 손상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입증함으로 메밀꿀이 피부 노화와 관련하여 기능성 화장 품소재으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메밀꿀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 량, F. esculentum honey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DFs를 메밀꿀 처리에 따른 세포 생존율과 HDFs 대상 으로 정량적 qRT-PCR분석을 통해 콜라겐과 콜라겐 분해효소의 발현량을 분석하였고, UV에 의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정량 분석을 통해 메밀꿀의 효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UV에 의해 손상된 세포 복구력과 MMP 억제 및 콜라겐 생성을 유도하는 mRNA의 발현 양상을 통해 메밀꿀의 효능을 분석하였다. 결과: 메밀꿀의 항산화능을 확인하기 위해 메밀꿀의 농도별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에 세포 독성 평가를 HFDs에 진행한 결과, 세포 생존율이 90% 이상 관찰되었다.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실험에서 콜라겐 생성 유전자인 COL1A1, COL3A1 mRNA의 발현 은 증가되였고, MMP1과 MMP3 mRNA 발현은 감소하였다. 또한, 메밀꿀은 자외선에 의한 세포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자 외선 조사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감소시켰다. 자외선 조사에 의해 감소된 콜라겐 타입 COL1A1과 COL3A1의 발현은 메밀꿀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MMP1과 MMP3의 발현은 메밀꿀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 함으로 메밀꿀 처리 시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메밀꿀이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농도가 풍부한 천연 항산화제이며, 자외선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보호 효능을 확인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을 제하시였다.

중국어

目的: 通过荞麦(F. esculentum )蜂蜜对人体皮肤成纤维细胞(HDF)中胶原蛋白和胶原酶的表达,证明了即使 在紫外线 (UV)照射下,也对受损的人体皮肤成纤维细胞具有抗氧化作用。探讨其用作与皮肤老化有关的功能性 化妆品材料的可行性。方法: 分析荞麦蜜的总多酚含量、总黄酮含量和DPPH自由基清除活性。在用荞麦蜂蜜处 理后检查 HDF细胞活力,并通过定量实时聚合酶链反应 (qRT-PCR)分析测量编码胶原蛋白和基质金属蛋白酶 (MMP)的基因的表达。结果: 抗氧化活性分析表明,荞麦蜂蜜的总多酚含量、总黄酮含量和DPPH自由基清除活 性呈剂量依赖性增加。 qRT-PCR 分析显示胶原蛋白产生基因 COL1A1 和 COL3A1 的mRNA表达增加,而在用荞 麦蜂蜜处理的 HDF中MMP1 和 MMP3 表达降低。此外,荞麦蜂蜜保护 HDF免受紫外线 (UV) 辐射诱导的细胞毒 性并减少活性氧的产生。经紫外线照射降低的 COL1A1 和COL3A1 的表达以剂量依赖性方式恢复,而经紫外线照 射增加的MMP1 和MMP3 的表达在用荞麦蜂蜜预处理的HDF中以剂量依赖性方式降低。结论: 这些发现表明荞麦 蜂蜜是一种富含酚类和类黄酮的天然抗氧化剂,由于其对紫外线照射损伤的皮肤细胞具有保护作用,因此具有 作为抗衰老化妆品成分的潜力。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ethods
1. 시약 및 재료
2. 항산화 측정
3. 세포 배양
4. 세포 생존율 측정
5. UV 조사
6. 세포 내 ROS 정량 분석
7. RNA Preparation 및 cDNA synthesis
8.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9. 통계분석 방법
Results
1. 항산화능
2. F. esculentum honey의 세포독성(cytotoxicity) 평가
3. F. esculentum honey의 세포 항노화 평가
4. F. esculentum honey의 UV에 의한 세포 생존율 평가
5. F. esculentum honey의 세포 내 ROS 정량 분석 평가
6. F. esculentum honey의 UVA에 의한 콜라겐 발현 감소 억제력 평가
7. F. esculentum honey의 UVB에 의한 콜라겐 발현 감소 억제력 평가
Discussion
References
국문초록
中文摘要

저자정보

  • Hye-Bin Kim 김혜빈. Department of Cosmetics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 Sungkwan An 안성관. Department of Cosmetics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 Seunghee Bae 배승희. Department of Cosmetics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