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Effects of Nurse Managers’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on Nurses’ Use of Parental Leave

원문정보

간호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인식이 육아휴직 사용에 미치는 영향

Mi-Kyeong Jeon, Yun-young Kim, Hyun-ji Ba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nursing managers’ awareness of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ease in using parental leave. The 392 subjects were nurse manager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300 bed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ing questionnaire on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from January 27 to March 8, 2018. The affecting factors on using parental leave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by hierarchical regression. By including the nurse manager’s perception, the availability of the maternity protection policy, and the awareness of parental leave policy,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adjusted R2 was 16.6%.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higher level of nursing managers’ awareness about maternity protection and parental leave policy was related with the increased ease in using parental lea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wareness of nursing managers to utilize the maternity protection system including parental leav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take advantage of parental leave and various supporting systems such as education programs.

한국어

본 연구는 일-가정 양립에 대한 간호관리자의 인식 정도를 확인하고 간호사의 육아휴직 활용을 높이 기 위한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2018년 1월 27일부터 3월 8일까지 전국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총 460부를 회 수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지를 제외한 392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대상자의 모성보호제도 인식, 모성보호제도 활용도, 육아휴직 인식이 육아휴직 사용 용이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2.157, p<.001), 모형의 설명력은 16.6%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관리자가 모성보호제도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육아휴직제도 활 용이 상대적으로 더 용이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모성보호제도 활용을 높이고, 육아휴직제도를 이용하는 조직 분위기를 정착시키기 위해서 간호관리자의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관리자 의 조직문화 개선 역량을 향상시키고 간호사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다양한 제도적 정책적 지원이 요구되며, 이를 통해 의료기관에서의 성공적인 일-가정 양립정책의 정착을 기대하는 바이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방법 및 윤리적 고려
5.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모성보호제도 인식, 모성보호제도 활용도, 육아휴직 인식, 육아휴직 사용 용이성 정도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모성보호제도 인식, 모성보호제도 활용도, 육아휴직 인식, 육아휴직 사용 용이성
4. 대상자의 모성보호제도 인식, 모성보호제도 활용도,육아휴직 인식, 육아휴직 사용 용이성의 상관관계
5. 대상자의 모성보호제도 인식, 모성보호제도 활용도, 육아휴직 인식이 육아휴직 사용 용이성에 미치는 효과
Ⅳ. 고찰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Mi-Kyeong Jeon Department of Nurs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0 Changwondaehak-ro Uichang-gu Changwon-si, Gyeongsangnam-do, 51140, Korea
  • Yun-young Kim Department of Nurs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1375 Gyeondong-Ro, Andong-Si, Gyeongsangbuk-Do, Korea
  • Hyun-ji Bae Department of Nurs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1375 Gyeondong-Ro, Andong-Si, Gyeongsangbuk-Do,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