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겸재 조태억의 제석시(除夕詩)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Gyeomjae Jo Tae-eok’s Poems of New Year’s Eve

이황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oems of New Year’s Eve refer to the poems written on the last day of a year as the writer looks back on the year and expects the new year. Gyeomjae Jo Tae-eok (1675~1728)’s Gyeomjaejip contains a number of poems of New Year’s Eve, 14 topics and 32 pieces, singing about 11 times of New Year’s Eve, so it is noteworthy because we can examine the contents and changes of his feelings with them. Looking into Jo Tae-eok’s poems of New Year’s Eve along with his life and history,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contents of them in each year and his sentiments. Having the envoying of the Diplomatic Mission in the year of Sinmyo(1711) as a point of division, this author divided Jo Tae-eok’s poems of New Year’s Eve into former poems including the one written at the age of 16(1690) to the one written in the year that there was an event of the Sinmyo Diplomatic Mission and latter ones including the one written at the age of 37(1711) during his envoying as a member of the Sinmyo Diplomatic Mission to the one written at the age of 52(1726) when he was removed from office and expelled from Hanyang on account of Eulsahwanguk(1725). The Sinmyo Diplomatic Mission was taken as a point of division because it is thought to have been a crucial turning point in his life as he was imprisoned and punishedright after returning to the country due to the matter associated with Japan regarding Avoid mentioning over The title of the king and Credential. In terms of contents, too, after the event, his poems of New Year’s Eve reveal different aspects from the former ones as he began to lament his oldness or wish for secluded life in them. Jo Tae-eok left more poems of New Year’s Eve compared to other writers as he enjoyed writing poems usually. It seems that New Year’s Eve did provide him with great subject matters for poetry writing and motives for creation. Concerning the subject matters and contents of his poems of New Year’s Eve, former poems written before the Sinmyo Diplomatic Mission sing about strengthening his will to study, striving to live righteously, or longing for his older brother mostly while latter ones mainly depict yearning for his brother, sighing about getting old, or pursuing secluded life. Also, investigating his poems of New Year’s Eve along with the history of his life, we can see that he endeavored to live according to his own motto: “One ought to be strict when trying to supervise oneself and never fails to be humble when treating others. When one wants to get something, one must consider integrity and should never lose composure in one’s official career. Jo Tae-eok wrote his own poems of New Year’s Eve at the age of 39 inspired while appreciating Dufu (杜甫)’s and at the age of 52, Baijuyi (白居易)’s . Their poems of New Year’s Eve were, in fact, beloved by a lot of literary persons generation after generation around those ages. Generally, many of the poems of New Year’s Eve embody the poets’ delicate sentiments in literarily superb ways, so they form such a crucial genre allowing us to consider a poet’s world of poetry in general. Therefore, this study will also contribute to figuring out Jo Tae-eok’ poetic world afterwards.

한국어

한 해의 마지막 날에 지난해를 돌아보고 다가올 새해를 맞이하며 쓴 시를 제석시 라 한다. 조선조에 들어서는 문집을 남긴 사람 대부분이 제석시 한 수 정도는 썼을 정도로 제석은 문인들에게 좋은 창작 동인이 되어 왔다. 겸재 조태억(1675~1728) 의 겸재집에는 11차례의 제석을 읊은 14제 32수라는 상당량의 제석시가 수록되 어 있어 그 내용과 정서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 볼 만하다. 본고에 서는 조태억의 제석시를 그의 삶의 궤적과 함께 살펴보며 조태억 제석시의 특징을 찾아보았다. 필자는 조태억의 제석시를 그가 정사로 갔던 신묘년(1711) 통신사 사행을 기준으로 하여 16세(1690년)에 지은 제석시부터 신묘년 통신사 사건이 있기 전까지의 제석시를 전기의 제석시로, 신묘통신사를 가서 지은 37세(1711년) 의 제석시부터 을사환국(1725)으로 삭탈관직당하고 문외출송 된 상태에서 지은 52세(1726년)의 제석시까지를 후기의 제석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신묘통신사를 기준으로 삼은 이유는 그때 일본과의 국왕호와 국서의 범휘 문제가 빌미가 되어 조태억은 귀국하자마자 수금되고 죄를 받는 등 이 사건이 그의 인생에서 큰 전환점이 되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며, 내용 면에서도 이 사건 이후의 제석시부터 늙어감을 한탄하는 내용이나 은거를 희구하는 내용이 등장하는 등 이전 시기의 그것과는 다른 면모를 보이기 때문이다. 조태억은 시로 자신의 삶을 정리하며 기록하는 데에도 능했는데, 이는 33세 (1707년)와 52세(1726년) 두 차례에 걸쳐 작성한 90편의 <전․후감군은>에서 도 확인되며, 또한 이는 그가 역대 문인 중 손에 꼽힐 만큼 많은 제석시를 남길수 있던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제석시의 소재와 내용면에서 신묘통신사 이전의 제석시는 면학 다짐, 청렴한 삶 다짐, 형에 대한 그리움 등이 주를 이루며, 그 이 후의 제석시에서는 형에 대한 그리움과 함께 늙어감을 한탄하거나 은거를 희구하 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또한 그의 제석시를 그의 삶의 이력과 아울러 살펴보면 그가 “자신을 단속할 때에는 마땅히 엄격해야 하고, 다른 사람을 대할 때는 마땅히 겸손함으로 해야 한다. 얻을 것이 있으면 반드시 청렴함을 생각하고 벼슬길에서는 평정심을 잃어서는 안된다.”는 자신의 좌우명에 맞게 살아가려 애써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태억은 39세에는 두보의 <杜位宅守歲>를, 52세에는 백거이의 <除夜 寄微之>를 음미하다 감회가 일어 제석시를 지었는데, 이들의 제석시는 예로부터 많은 문인이 그 나이대에 애송해온 시이기도 하다. 제석시는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로운 해를 맞이하면서 쓰는 시이기 때문에 작가 의 삶에 대한 성찰과 태도를 극명하게 보여줄 뿐만 아니라, 대체로 시인의 섬세한 감정이 문학적으로 뛰어나게 형상화된 작품들이 많다. 그러하기에 제석시는 시인 의 시세계 전반을 이해하기 위한 좋은 지표가 된다. 본고 역시 조태억의 시세계를 파악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신묘통신사 이전의 제석시
3. 신묘통신사 이후의 제석시
4. 결론 - 조태억 제석시의 특징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황진 Lee, Hwang-jin. 단국대학교 연구전담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