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xploring Educational Phenomenological Measures of the Improvement in University Class Quality Using CQI Text Analysis - Focused on H University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s to find an educational phenomenon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classes in the post-COVID-19 era. The use of the text mining technique led to having extracted the 100 text among 2,429 texts that were shown in curricular subject CQI data of the H university 2021 school year. And the topic modeling led to having progressed the work of classifying the texts of being revealed in CQI data as the curricular subject of A university into a topic group. The characteristics in texts, which were sampled from all the curricular subjects, the liberal arts subjects, the teaching subjects, appeared differently. Second, a topic group that was sampled through the topic modeling included 6 things. It was indicated to be ‘Education in the COVID-19 era’ for the topic group in Topic 1, ‘Lecture-centered education’ for the topic group in Topic 2,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the topic group in Topic 3, ‘CQI-based education’ for the topic group in Topic 4, ‘User-centered education’ for the topic group in Topic 5, ‘Performance management-based education.’ for the topic group in Topic 6.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similarity among topics, Topic 1, 2, 3, 5 could be clustered into one group. On the other hand, Topic 4 and Topic 6 were confirmed to be clustered into other group, respectiv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ade a new attempt by accepting the demands of the educational field in the post-Corona era, while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few studies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ubject CQI. In addition, efforts were made to secure the academic validity of text analysis through an educational phenomenon approach that focuses on deriving the meaning of facts that occur dynamically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interpreting their meaning.
한국어
이 연구는 포스트코로나시대 상황 속에서 대학 수업 질 개선의 교육현상학적 방안 모 색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교과목 CQI 자료에서 나타난 텍스트 분석에 주목하였다. 구 체적으로 H대학 2021학년도 1학기 교과목 CQI 자료의 텍스트 분석 가운데 텍스트 마 이닝 분석을 통해 총 2,429개 텍스트 중 단어의 빈도 수에 따라 상위 100개의 텍스트를 추출하여 대학 수업과 관련한 전반적인 경향성을 검토하였다. 주로 ‘코로나’, ‘대면’, ‘온 라인’, ‘소통’, ‘피드백’, ‘개선’, ‘향후’, ‘예정’, ‘부족’, ‘상담’, ‘실습’, ‘전공’, ‘능력’, ‘핵 심역량’, ‘성취’, ‘평가’ 등의 텍스트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2019학년도 1학기부 터 대두된 ‘코로나19’ 사회현상이 대학 교육현장에도 영향을 미친 결과임을 확인시켜 준다. 그리고 텍스트 마이닝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상위 30개의 텍스트가 추출되었고, 도출된 토픽 주제군은 6가지였 다. 이 연구에서 설명력이 가장 높은 토픽 주제군은 토픽1인 ‘코로나시대 교육’이었다. 토픽2의 주제군은 ‘강의중심 교육’, 토픽3의 주제군은 ‘역량기반 교육’, 토픽4의 주제군 은 ‘CQI기반 교육’, 토픽5의 주제군은 ‘수요자중심 교육’, 토픽6의 주제군은 ‘성과관리 기반 교육’으로 나타났다. 토픽 간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토픽 1, 2, 3, 5는 상대적으로 유사도가 높은 군집들인 반면에 토픽4와 토픽6은 나머지 토픽 주제군과 유사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그간 교과목 CQI의 내용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하 는 연구가 거의 없었던 한계점을 감안하면서도, 포스트코로나시대 교육현장의 요구를 받아들여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교육현장 속에서 역 동적으로 일어나는 사실들의 의미를 도출하는 교육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텍스트 분석의 학술적 타당도를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