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과학

지방자치단체의 장소 기반 지역축제에 나타난 장소성 분석 - 연천전곡리구석기 축제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Analysis of Placeness in the Place-based Regional Festival - The Case of Yeoncheon Jeongok-ri Paleolithic Festival

김민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placeness of the Yeoncheon Jeongok-ri Paleolithic Festival, a regional festival based on place. Placeness consists of three elements. These include the physical environment, experiential activity, and cognition. The physical environment is a material base located in place, and includes a boundary area and objects and structures within it. Experiential activities refer to activity-based programs, projects, and experiences that include visible actions. Cognitive action consists of activities that give meaning to a place. This study analyzes these three elements of place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each of the three elements of placeness appeared in this regional festival. In particular, one characteristic point was found in the results. It is a local festival that started based on a prehistoric site as a specific place, but the scope of the place is gradually expanding throughout the Jeongok-ri and Yeoncheon regions. One of the reasons for the expansion of the place is that the local government is using the festival as a means of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by using the entire region as a festival venue. This study has two implications. First, for local governments, regional festivals are subject to management for performance. Second, the activities have been expanded outside the place, and thus the placeness may be weakened.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he expansion and shrinkage of place occur together in a place-based local festival.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소 기반 지역축제인 경기도 연천전곡리구석기 축 제에서 나타나는 장소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장소성 분석은 장소성의 3가지 요소인 물리적 환경, 경험적 활동, 인식작용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진다. 물리적 환경이란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는 물적 토대로서 한정적인 영역과 대상물 및 구조물 등이 해당된다. 경 험적 활동은 가시적 행위를 동반하는 활동 기반의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 및 체험 등이 해당된다. 인식작용이란 의미 부여를 중심으로 하는 주관적 가치화, 의식화, 인지화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장소성은 ‘물리적 환경’에 놓인 장소에서 인간이 ‘경험적 활동’을 하면 서 의미를 부여하는 등의 ‘인식작용’에 따라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축제의 소재가 장소인 연천전곡리구석기 축제는 장소성 요소 각각에서 장 소성 구현을 위한 일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때 한 가지 특징적인 점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특정한 장소인 선사유적지를 기반으로 시작된 지역축제이지만, 그 장소의 범위 가 지역 내 특정 장소에서 전곡리 지역 일대와 연천 지역 전역으로 점차 넓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장소 확장의 이유 중 하나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 전역을 축제 장소 로 삼아서 축제를 지역경제 활성화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이 갖 는 의미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지역축제는 결국 성과를 위한 ‘운영’의 대상이라는 점 이다. 둘째, 그러나 비록 장소 기반 축제의 장소 확장 현상이 축제 운영의 관점에서는 나타날 수 있는 한 모습일 수는 있으나, 엄밀히 보면 이는 오히려 확장된 장소로 인해 본래 장소에서도 장소성 약화가 나타날 수 있어서 장소의 축소일 수도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장소 기반 지역축제인 경기도 연천전곡리구석기 축제에서 나타나는 장소성 분석을 통해 장소의 확장과 동시에 장소의 축소 가능성의 모습을 함께 살펴볼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장소성 요소
Ⅲ. 선행연구 검토
Ⅳ. 연천전곡리구석기 축제의 장소성 분석
Ⅴ. 연구의 함의와 결론: 장소 확장과 축소의 이중주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민주 Kim Minju. 동양대학교 공공인재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