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8~10세기 동유라시아 모피 무역의 실상

원문정보

The Reality of East Eurasian fur trade in the 8~10th centuries

윤재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was prepared to examine the fact of fur trade, which has an important meaning along with silk in East Eurasian trade in the 8~10th centuries. To this e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fur trade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of fur, and consumption. Through thi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East Eurasian fur shown in the 8th and 10th centuries data is fur of sable, tiger, Ursus arctos, Ursus thibetanus, panther, and seal in Balhae, and Silla only shows seals’ fur. Fur was mainly produced in fishing hunting areas in eastern and northern Balhae, and it corresponds to Heowon-bu(懷遠府), Cheolli-bu(鐵利府), Anwon-bu(安遠府), and Solbin-bu(率賓府), as Lesser Khingan Mountains(小興安嶺) and Samgang Plain (三江平原) districts. In this area, there lived Funie Mohe(拂涅靺鞨), Yuexi Mohe(越喜靺鞨), Yulou Mohe(虞婁靺鞨), and Tieli Mohe(鐵利靺鞨), etc. Another mountain area is the fishing hunting area in central Balhae, which is the Jangbaek(長白) Mountain Range. In addition to this area, there was also a major production area for fur in the current coastal area where Heishui Mohe(黑水靺 鞨) lived. Next, it was confirmed that the fur of East Eurasia in the 8~10th centuries was distributed through transportation routes leading to Central Asia to the west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to the east, centering on the northeastern region of Balhae, which was a major mountain area. It can be seen that Balhae actively utilized the receiving of the ruling power to make efforts in fur trade, and that fur trade was also carried out by Sogd merchants. Finally, when viewed from data on fur consumption in Tang, Japan, and Silla, it can be seen that fur was a symbol of status that distinguished status. In the end, the fur of East Eurasia in the 8~10th centuries can be said to have a pioneering historical significance as a world product.

한국어

본 논문은 8~10세기 동유라시아 무역에서 비단과 더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진 모피 무역의 실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모피의 산지와 유통과정, 그리고 소비를 통해 모피 무역의 역사적 의미를 규명해 보았다. 이를 통해, 첫째로 8~10세기 자료상에 보이는 동유라시아 모피는 발해의 경우 貂皮, 大蟲皮, 羆皮, 熊皮, 豹皮, 海豹皮이며, 신라는 海豹皮만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피는 주로 발해 동부와 북부의 어업 수렵 구역에서 생 산되었는데 소흥안령과 삼강평원 지구로 懷遠府, 鐵利府, 安遠府, 率濱府에 해당한다. 이 지역에는 拂涅, 越喜, 虞婁, 鐵利靺鞨등이 살았다. 다른 산지 로는 발해 중부 어업 수렵 구역으로 장백산맥 지역이다. 이 지역 외에도 흑 수말갈이 거주하던 지금의 연해주 일대에도 모피의 주된 산지가 있었다. 다음으로 8~10세기 동유라시아의 모피는 주요 산지였던 발해 북동지역을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중앙아시아와 동쪽으로는 일본 열도에까지 이어지는 교통로를 통해 유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발해는 재지세력인 수령을 적극적 으로 활용하여 모피무역에 힘썼으며, 소그드상인에 의한 모피무역도 이루어 졌음을 알 수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당, 일본, 신라의 모피 소비 관련 자료를 통해 보았을 때, 모피 는 신분을 구분하는, 신분의 상징이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결국 8~10세기 동유라시아의 모피는 세계상품으로서의 선구적인 역사적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모피의 생산
Ⅲ. 모피의 유통
Ⅳ. 모피의 소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재운 Yun Jae Woon. 대구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