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내 대학생의 문화적 가치관이 시간제 근로 기간에 주는 영향 : Hofstede 문화차원을 활용한 예비연구

원문정보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Cultural Values on the Part-time Work Period : A Pilot Study Based on the Hofstede Dimensions

이동현, 조순정, 김보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university students' cultural values on the part-time work period, examining a conceptualized cultural values framework based on the Hofstede Dimensions. As a pilot study, it gathered the online survey replies between the 2nd term of 2020 and the 1st term of 2021, relying on 133 undergraduate students working part-time ever from three universities within Seoul, Gyeonggi, and Chungnam in South Korea. The study then carried out non-parametric u-tests as well as multinomial logit analyses by utilizing a two-set of independent variables incorporating the Hofstede model of six dimensions and two individual elements, including Gender/School Year, and three nominal dependent variables that present the part-time work period categorized as Short/Mid/Long. Results showthat (i)While Indulgence in themale group appeared to be relatively lower and the part-timework periodmight be shorter, Collectivism for the upper-grade group turned out to be stronger, and the part-time work period could be longer; (ii) Amongst the Hofstede's Dimensions elements, Masculinity, Uncertainty Avoidance, and Long-term Orientation were significant, together with School Year, in affecting the part-time work period; and (iii) The conceptual model's explanatory power at large for predicting one of the given three periods was at 56.4%, confirming the usefulness for a subsequent main study. This pilot work thus has value for future research as test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values and the part-timework period against Korean university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의 문화적 가치관이 시간제 근로 기간에 영향을 주는지 파악할 목적으로 Hofstede 문화차원에 기초한 개념 모형을 실 험한 예비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0년 2학기와 2021년 1학기, 서울·경기·충남 소재 3개 대학에서 시간제 부업의 경험이 있는 133명을 조사 대상 으로 했다. 동 연구의 측정 도구는 Hofstede 6가지 문화차원 요소, 2가지 개인 요소(성별·학년) 및 시간제 근로 기간(단기·중기·장기)이며, 분석 도구는 집단 비교 u-검정과 다항로짓분석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제 근로 시 남학생의 자적(Indulgence)이 덜하며 근로 기간이 짧고, 고학년의 집단주의(Collectivism)가 강하며 근로 기간이 길었다. 둘째, Hofstede 문화차원 요소 중 남성성(Masculinity), 불확실성 회피 (Uncertainty avoidance), 장기 지향(Long-termorientation)이, 개인 요소에선 학년이 시간제 근로 기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줬다. 셋째, 동 연구의 문화적 가치관 모형의 시간제 근로 기간에 관한 예측력은 56.4%로써 후행의 과업에 의미 있는 활용 가치를 보였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의 문 화적 가치관이 시간제 근로 기간에 끼치는 관계를 첫 실증한 의의가 있으며, 더 많은 표본의 후속 연구를 통해 개념 모델과 분석 결과의 고도화 를 꾀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대학생의 구직과 시간제 근로
2. 문화적 가치관과 개인의 조직 적응
3. Hofstede 문화차원과 한국인의 문화 가치관
III. 연구 방법론
1. 연구 설계
2. 연구 절차
IV. 분석결과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2. 신뢰성 검증 (정량·정성)
3. u-검정 (집단 비교)
4. 다항로짓분석 (영향 예측)
V. 결론
1. 토의 및 제언
2. 결어 및 후속 연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동현 Lee, Dong-Hyun. Auck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경영대학 ERP강사
  • 조순정 Cho, Soon-Jeong. 상명대학교(천안) 영어권지역학전공 부교수
  • 김보라 Kim, Bo-La. 서울시립대학교 글로벌외국어교육센터 객원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