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study of female space in Miwa Komatsu's works

원문정보

Jang, Ben Xia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tarting from the cognitive perspective, this paper interprets contemporary female art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as the main research content. It shows that the aesthetic research of female art should pay attention to the individual perception model, and carry out research through the situational space environment. Through the research and cognition of the inner space and outer space of the unique female art, a comprehensive space is formed, the method of space epistemology is established, the single picture space is rethought, and the contemporary female works are reinterpreted from the overall artistic space. “Since the 20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the feminist movement, scholars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research on women. Before the 1970s, the research on women mainly tended to be carried out from the Angle of sociology and history. With the development of “new art history” and “new historiography” in the Western academic circle, the 1970s bega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new history of art and history later studies on women gradually penetrated into the field of art history.”19) The modeling and expression of space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proposition of art.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construction, diversity, ductility and so on, and its meaning will change with the transformation of time and spac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inspiration of contemporary philosophical thoughts, the unknown world is constantly being explored explore, many new space art form created, multi-dimensional space art form more and more applications since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by artists, art history research in the following changes: except as and the form of traditional research on the map, began to attach importance to the research of other social factors for the global history of exploration These changes reflect that the academic research on the history of art has shifted from exploring the content and form of images to the external factors related to artistic production demand and other outside space. taking painting research as an example, in the traditional cognition, painting as a space art mainly refers to the form composition in a plane space, and this space is only a static material existence form. However, if we compare this space art with the 20th century since the space theory of contact, we will open a new cognitive dimension, give us a new inspiration , namely the form of our plane space visible to the naked eye is not the whole painting space meaning, it besides we can directly see the line of color shape and structure layout of the paintings inside space to outside, still contain the social history Therefore, female paintings are included in a comprehensive space as a comprehensive space of inside and outside painting to understand female works. What is a “feminine space”? Female space is not the physical boudoir space in the traditional Chinese sense, but represents the sum of all histor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Spaces. “Female space” becomes women's independent individual “large than life”. “Female space” is a core concept that is clearly put forward by Wu Hung in the 《reinventing Stereotypes: The Twelve Flowers of War and a Dream of red Mansions》, it refers to “a real or imaginary place represented by the cognitive imagination as a woman.”20) “Feminine space” is a unique art expression of the space of a comprehensive, is a combination of paint inner space and outer space is a space covers two-dimensional picture three-dimensional visual space and the original experience of space and aesthetic space, is a collection of various space and the structural connection, is a kind of integrated study on space, from space perspective and an approach to overall art.

한국어

본문은 인지시역에서 출발하여"공간"의 시각으로 현대 여성 예술작품을 분석한 주요 연구 내용이다. 이는 여성예술의 미학연구는 반드시 개체의 지각패턴에 관심을 가지고 상황화된 공간환경을 통해 연구를 진행해야 함을 보여준다. 여성예술의 독특성, 회화내 공간, 회화외 공간에 대한 연구와 인식을 통하여 하나의 종합공간을 형성하며,' 공간'인식론의 방법을 수립하여 단일 화면공간에 대해 새롭게 사고하며, 전체적인 예 술공간에서 현대 여성작품을 새롭게 해석한다. “20세기 들어 페미니즘 운동의 영향으로 학자들이 여성 연구에 관심을 갖기 시 작했다. 1970년대 이전에는 여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사회학과 역사학의 관점에서 전 개되었으나, 서구 학계에서"신예술사"와"신사학"의 발달과 함께 1970년대 이후에는 예 술사 분야로 여성 연구가 침투하였다.” 공간의 조형과 표현은 줄곧 예술의 중요한 명제 로서, 공간은 재구성성, 다원성, 확장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공간이 변 화함에 따라 의미도 변한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당대 철학사조의 계발과 더불어 미지 의 세계에 대한 끊임없는 탐색속에서 많은 새로운 공간예술형식이 창조되였고 다차원 적인 공간예술형식이 갈수록 많은 예술가들에 의해 응용되고있다. 미술사 연구 20 세 기 중후반 이후나 타 난 다음과 같은 변화의 형태로 자신의 이미지와 전통에 대한 연구 이외에는 다른 사회적 요소에 대한 연구에 중시를 돌리기 시작하, 글로벌 미술사에 대 한 모색 등,이 러한 변화를 반영 한 학계에 미술사 연구의 영상 내용과 형식을 모색이 이전에 대한 예술적 생산, 수요 및 기타화외 공간의 외부 요인이다. 회화연구를 예로 들면, 전통적인 인식에서 회화는 일종의 공간예술로서 주로 일종의 평면공간중의 형식 구성을 가리키는데,이 공간은 단지 일종의 정지된 물질의 존재형태에 불과하다. 그러 나 공간 예술인 회화를 20세기 이후의 공간 이론과 연결시켜 본다면, 우리는 인지적 차원을 열어,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평면 공간의 형식적 구성이 공간 의미의 전부가 아 니라는 새로운 계시를 줄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직접 볼 수 있는 선, 색채, 조형과 구 조 등의 그림 내 공간 이외에도 사회, 역사, 정치, 문화 등 많은 그림 외 공간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 때문에 녀성회화를 하나의 종합적공간에 포함시켜 화내와 화외의 종합 적공간으로서 녀성작품을 인식한다. “여성의 공간”이란 무엇인가? 여성 공간은 중국 전통 의미에서의 물리적인 규방 공간이 아니며, 모든 역사, 사회, 심리적 공간의 총화를 대표하고 있다. '여성 공간 '은'large than life'라는 독립적인 여성 개체로 확대되었다. 여성 공간 (feminine space)은 우훙 (Wu Hung)이《진부한 재창조:청나라 궁중의 열두 미인과 홍루몽》(reinventing Stereotypes)에서 명확하게 제기한 핵심 개념으로, “여성의 실제 또는 허구로 인식되고 상상되고 표현되는 장소"를 가리킨다. ” '여성공간'은 여성예술의 독특성을 표현하는 종합적인 공간으로, 회화내 공간, 회화외 공간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이다.2차원 그림 공간, 3차원 시각 공간, 원경 체험 공간 및 미학을 포함하는 특정한 공간 구성이며, 다양한 공간의 집합과 구조적 연계이며, 종합적인 공간 연구의 한 종류이며,공간적 시각과 여성성을 연결시키는 인식방법 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Introduction
Ⅱ. The uniqueness of female painting
Ⅲ. Analysis of Miwa Komatsu's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Ⅳ.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spatial cognition
Ⅴ. Epilogue

ABSTRACT

저자정보

  • Jang, Ben Xia Kyonggi University Global Fine Art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