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석도 『화어록』 「자임장(資任章)」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pter Ziren in Shi Tao's Huayulu

이명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apter Ziren(資任) in Shi Tao(石濤)’s Huayulu(畵語錄) is a fusion of painting thoughts of Confucian, Buddhism, and Taoism, and Shi Tao intended to emphasize that all laws create art by acquiring the wisdom of Ziren(資任, talent and duty). Ziren is the second most significant concept after ‘one-stroke(一畵)’ in Huayulu. It is placed in the last chapter of Huayulu, so it summarizes the previous chapters. The chapter Ziren contains the virtue of cultivation of the ancestors who achieved the joy of brush and ink while drawing mountains and streams and comprehensively summarizes the creative issues of landscape paintings. In addition, Shi Tao emphasizes having the creative living attitude that an artist should pursue and fulfilling the duties and responsibilities of a painter. To analyze the chapter Ziren of Shi Tao’s Huayulu, I derived the literal meaning of Ziren, and through this, I grasped the significance of Ziren. I also examined its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m into Tianren(天任, heaven-gifted duty), Quren(取任, fulfilling given duty), and Ziren(自任, fulfilling self-duty). First, Tianren(天任) is the flow and harmony of the Way that the main body heads for the subjective body. Heaven(天) is regarded as the supreme main body in Eastern philosophy. Ren(任) originates from the person’s perception of the subject, but Ren(任) of Tianren(天任) has the meaning of request and entrustment. It could be the same as an important duty gifted by heaven[ 天降大任]. Second, Quren(取任) refers to the choice of creation and is a practical act. An artist in charge of cultivating himself through drawing mountains and streams must fulfill his duties as a painter. Otherwise, it will be an act that does not undertake the responsibilities. Therefore, a painter should properly take the task of drawing mountains and streams and must express the spirit of heaven and earth. Third, Ziren(自任) i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ianren to things or people( subjects). Shi Tao believed that all things reproduce and live in heaven and earth and that they were all given the task of heaven. He also thought that it was also the task of heaven for people to live. Therefore, he said that all things are to fulfill their du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existence. The purpose of Shi Tao’s writing of Huayulu was not to find the origin of the theory of the main body. He sought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his creative painting theory by deriving the doctrine of self-duty from the task of heaven. Therefore, he thought that the artist’s self-duty is to maintain subjectivity without being bound by the worldliness of the old law. In addition, he insisted that a painter, in various changing phenomena, should change while conforming to the principle in his unconscious mind and emphasized that he should reach a state of being able to draw well even without artificially trying to draw well. Through the analysis of Tianren(天任), Quren(取任), and Ziren(自任), I could see that Shi Ta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ulfilling his duties as an artist by properly recognizing the various phenomena of mountains and streams. In particular, based on the theory of one-stroke, a painter could reach the state that “one governs all things, and all things govern one”[以一治萬, 以萬治一] and would be able to create beautiful landscape paintings.

한국어

石濤 『畵語錄』 「資任章」은 유·불·도 회화사상이 융합하는 형태로 萬法이 資任의 지혜를 얻어, 예술을 창조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資任은 『화어록』에서 ‘一 畵’ 다음으로 중요한 개념으로 『화어록』의 마지막장에 놓이게 되어 전편을 융합하는 의 미가 있다. 「자임장」에는 산천을 그리면서 필묵의 즐거움을 이룬 선인들의 수신의 덕 목이 들어있으며, 산수화의 창작 문제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예술가가 추구해야 할 창조적 삶의 태도와 화가로서의 의무와 책임을 다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석도의 「資任章」을 분석하기 위해 資任의 의미에 관하여 문자학적 의미를 도출 하고 이를 통해 자임의 의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석도 『화어록』 「자임장」의 미학적 특징을 天任, 取任, 自任으로 나누어 살펴본바, 첫째, ‘天任’은 본체가 주체로 향하는 도의 흐름과 조화라고 할 수 있다. 하늘[天]은 동양철학에서 최고의 본체로 간주한다. 任은 사람의 주체 인식에서 출발하지만, 天任에서의 任은 요구와 위탁의 뜻이 있다, 이 를테면 天降大任의 任과 같다. 둘째, ‘取任’은 창작의 선택을 말하는 것으로 실천적 행 위이다. 산천몽양의 소임을 받은 작가는 반드시 먼저 작가적 자질의 소임을 다해야 한 다. 그렇지 않다면 그 소임을 책임지지 않는 행위가 된다. 따라서 화가는 산수의 소임 을 바르게 취하여 천지정신을 표현하는 것을 대임으로 삼아야 한다. 셋째, ‘自任’은 天 任을 사물이나 사람(주체)에 실행 적용하면 ‘自任’이다. 석도는 천지 가운데 만물은 모 두 천지에 번식하여 살아가며, 모두 하늘의 소임을 받은 것이다. 사람의 생명도 하늘의 소임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만물은 각기 존재의 특징에 따라 스스로 맡은바 소임을 다하는 것이다. 석도의 목적은 본체론의 근원을 찾는 것이 아니라, 하늘의 소임으로부 터 自任의 學說을 이끌어내어 그의 창조적 회화 이론의 토대를 확립하는 것이다. 따라서 화가의 自任은 古法의 속기에 얽매이지 말고 주체성을 유지하며, 다양하게 변화하 는 현상 속에서 무의식 가운데 이치에 순응하여 변화하며, 인위적으로 잘 그리려고 하 지 않는데도 잘 그릴 수 있는 경지에 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天任, 取任, 自任의 분석을 통해 산수의 다양한 현상을 바르게 인식하 여 화가의 맡은바 소임을 다할 것을 강조한다. 특히 一畫論에 근거하여 蒙養之功과 生 活之操로써 “하나로 만 가지를 다스리고, 만가지로 하나를 다스린다[以一治萬, 以萬治 一]”는 경지에 도달하게 되며 아름다운 산수화를 창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자임(資任)의 의미론
1. 천임(天任), 본원(本源)적 조화
2. 취임(取任), 창작(創作)적 선택
3. 자임(自任), 주체(主體)적 실천
Ⅲ.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명원 Lee, Myung Won.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