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대화 시간이 관용표현 이해 수준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conversation length on children’s understanding of idiomatic expressions.

양효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arents-child communication and the length of the conversation affect children’s understanding of idiomatic express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eighty-nine sixth-grade student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Parent-child communication scale (PACS) and idiomatic expression comprehension level competency evaluation adopted by the researcher were used in the study. First, a difference in communication scores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arent-child conversation. The group in which parents and children had more than one-hour of conversation received higher open communication scores compared to the group with less than one-hour of conversation, which also received low problematic communication scores. In add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idiomatic expressions and the length of the parent-child conversation. Lastl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understanding of idiomatic expressions and the type of communications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Although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understanding of idiomatic expressions based to the type of communications and the conversation length,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that parent-child conversation is an important language experience for children.

한국어

본 연구는 부모와 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대화 시간이 자녀의 관용표현 이해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피고자 한다. 이에 초등학교 3개교 6학년 89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 구자가 번안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척도(PACS)와 관용표현 이해 수준 능력 평가를 연구 도구로 사용했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와 자녀의 대화 시간에 따른 의사소통 점수는 차이가 있었다. 부모와 자녀의 대화 시간이 길수록 개방적 의사소통 점수가 높았고, 문제적 의사소통 점수가 낮았다. 둘째, 부모-자녀의 대화 시간에 따른 학생들의 관용표현 이해 수준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문제적 의사소통에 따른 학생들의 관 용표현 이해 수준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의사소통 유형과 대화 시간에 따른 관용표현 이해 수준은 관계가 없었지만, 부모-자녀의 대화가 아동에게 중요한 언어 경험(language experience)이라는 점에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과 대화 시간
2. 관용표현과 언어 경험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기간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대화 시간 및 의사소통 유형, 관용표현 이해 분석
2. 부모-자녀 대화 시간에 따른 관용표현 이해 수준
3.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관용표현 이해 수준 간의 관계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효준 Yang, Hyojun. 선행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