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뉴미디어 아트에서 지각적 공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Perceptual Space in New Media Art

우선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erceptual space formed by new media art is a subjective type of space that can be changed by virtual realization and redundant imaging as experienced by multiple senses of the body.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due to the mediating nature of technical apparatuses and the action of the screen as an interface, the process of realizing an aesthetic object with multiple senses of the body and the dual perspective of being the embodiment at the same time as observing the screen, are realized. As a result, new media art allows viewers to form an aesthetic perception that senses space as a body, which in turn mingles with the historical, cultural, and customary context of space to recognize new space. Therefore, the perceptual space formed in new media art can be an intrinsic form of imaging arising inside the bodies of users who are both observers and participants, becoming reduced and expanded as a phenomenological and aesthetic existence existing in the 'now-here'. In this context, based on the dual and operational imaging of the new media art interface, the aesthetic perceptions formed while interacting with the media in real time are projected back into a physically related space to form a situational space, an event space, and a space as a place.

한국어

뉴미디어아트가 형성하는 지각적 공간은 신체의 다중감각으로 경험하는 가상적 실재화, 그리고 이중화된 이미지화 작용으로 인해 변화된 주관적인 공간이다. 즉, 기술적 장치의 매개적 성격과 스크린-인터페이스의 작용으로 인해 신체의 다중감각으로 미적 대상을 실재화시키는 과정, 스크린을 보는 관찰과 동시에 신체화되는 이중적 시각을 가지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로서 뉴미디어아트는 관람자에게 공간을 신체로서 감각하게 하는 미적 지각을 형성하게 하는데, 이는 다시 공간이 가진 역사적, 문화적, 관습적 맥락과 뒤섞여 새롭게 공간을 인식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뉴미디어아트에서 형성되는 지각적 공간이란 관찰자이면서 동시에 참여자인 관람객의 신체 내부에서 형성되는 내재적인 이미지화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이는 다시 ‘지금-여기’에 존재하고 있는 현상학적이면서도 미학적인 현존재로서 환원되어 확장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뉴미디어아트 인터페이스의 이중적이면서 작동적인 이미지화를 바탕으로 매체와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형성되는 미적 지각은 다시 물리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공간으로 투사되어 상황적 공간, 사건적 공간, 그리고 장소로서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논문의 배경
1.2. 연구방법
2. 본론
2.1. 감각과 지각의 매개로서 장치: 인터페이스에서 상호작용과 신체화
2.2. 뉴미디어아트에서의 지각적 공간
3.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우선미 Woo, Sun Mi. 한남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