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企劃] 근현대 인문실크로드 : 동아시아 지역담론

빙상실크로드와 거점항구의 이해와 동아시아 인문지평의 변화

원문정보

Understanding the Polar Silk Road and base ports and changing the humanistic horizon of East Asia

李幸哲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commercialization of 'Polar Silk Road' approaches,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at will arise from this in the future. Polar Silk Road was created as a joint venture between Russia and China, and China is actively promoting it as a national project by linking it with the ‘The Belt and Road’ project. Russia has designated Murmansk as the center city for Arctic projects, and China is conducting research on the suitability of ports in the Arctic Ocean as base ports. China and Russia have promoted a project to connect the three northeast provinces and Zarubino Port and Vladivostok Port in Primorsky Krai, and have already opened and operated sea routes linking Hunchun-Zarubino Port-Ningbozhoushan Port and Hunchun-Zarubino Port-Qingda Road. China has selected eight ports of the Polar Silk Road as base ports: Shanghai, Tianjin, Dalian, Shenzhen, Qingdao, Ningbozhoushan, Yingkou and Lianyungang. The selection and opening of the base port promotes the commercialization of Polar Silk Road and the exchange of goods and people.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Polar Silk Road is expected to open up a wide and diverse range of humanities horizons that have never been experienced before, such as changes in human ecology, intercontinental cultural and civilized exchanges, cultural hybrid communities, and the formation of a new East Asian civilized community.

한국어

본고는 ‘빙상실크로드’의 상용화가 가까워짐에 따라 향후 이 해상로로 인해 생 겨날 인문사회학적 연구를 연구하기 위한 사전 이해 및 탐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 다. ‘빙상실크로드’는 러시아와 중국의 합작으로 생겨났으며, 중국은 이를 ‘일대일 로’ 사업과 연계시켜 국가적 프로젝트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러시아는 북 극사업의 중심도시로 무르만스크을 지정하였으며, 중국은 북극해의 여러 항구에 대해 거점항구로서의 적합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동북3 성과 연해주의 자루비노항와 블라디보스톡항을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였으며, 이미 훈춘-자루비노항-닝보저우산항, 훈춘-자루비노항-칭다로를 연결하는 항로를 개통하여 운영하고 있다. 중국은 빙상실크로드의 거점항구로 상하이, 톈 진, 다롄, 선전, 칭다오, 닝보저우산, 잉커우, 롄윈강 8개의 항구를 선정하였다. 거점항구의 선정과 개통은 빙상실크로드의 상용화와 물적·인적 교류를 촉진시 키고 있다. 이제 우리는 빙상실크로드가 상용화됨에 따라, 인문생태환경의 변화, 대륙간 문화·문명교류, 문화혼종공동체, 새로운 동아시아공동체 형성 등 이전에 겪어보지 못한 넓고 다양한 인문학적 지평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는 말
II. ‘빙상실크로드’의 탄생과 『중국의 북극정책(中國的北極政策)』
III. 북극해의 주요 해역과 해상항로
IV. 북동항로 항해노선과 거점항구
Ⅴ. 빙상실크로드의 중국 거점항구
Ⅵ. 빙상실크로드와 인문생태환경의 변화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李幸哲 이행철. 浙江工商大學 東方語言與哲學院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