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트리 텍스트 모델 학습을 활용한 초등 인공지능 교육 내용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AI Education Contents using Entry Text Model Learning

김병조, 김현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by using Entry text model learning, educational content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developed and applied to actual classes. Based o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artificial intelligence content tabl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practical software edu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ill be reconstructed.. Among text, images, and sounds capable of machine learning, "production of emotion recognition programs using text model learning" will be selected as the educational content, which can be easily understood while reducing data preparation tim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try artificial intelligence is selected as an education platform to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ontents that create emotion recognition programs using text model learning and apply them to actual elementary school classes.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class application,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and interest in the entry AI class. it is suggested that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necessary as a follow-up stud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엔트리 텍스트 모델 학습을 활용해서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 업에 적용한다. 초·중등 인공지능 내용 체계표를 바탕으로 실과 소프트웨어 교육과 인공지능 교육의 성취 기준 을 재구성한다. 기계학습이 가능한 텍스트, 이미지, 소리 중에서 다양한 플랫폼에서 지원하고 초등학생의 데이터 준비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손쉽게 이해가 가능한 ‘텍스트 모델 학습을 활용한 감정 인식 프로그램 제작’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한다. 엔트리 인공지능을 교육 플랫폼으로 선정해서 텍스트 모델 학습을 활용한 감정인식 프 로그램을 만드는 인공지능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실제 초등학교 수업에 적용한다. 수업 적용 결과 엔트리 인공 지능 수업에 긍정적인 반응과 흥미를 보였다. 본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의 효과성 에 대한 양적 연구가 후속 연구로 필요함을 제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
2.2. 초등 인공지능 교육 내용 체계
2.3. 초등 인공지능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연구방법 및 절차
4. 연구결과
4.1. 초등 인공지능 교육 내용 선정
4.2.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 선정
4.3. 텍스트 모델 학습 인공지능 교육 내용 개발
4.4. 수업 적용 결과
4.5. 학습자 반응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병조 Byungjo Kim. 부산 동궁초등학교
  • 김현배 Hyenbae Kim. 부산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