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이미지 인식 이해 AI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I Education Program for Image Recognition for Low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정란수, 마대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society is moving toward another world that has never existed before. As a result,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and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more actively in Korea. However,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cusing o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curriculum and programs for the lower grade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a total of 6 sess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s were developed to understand image recognition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validity was secured by conducting expert validity for 8 experts, and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through the pre-post-response sample t-test by applying it to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both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ttitud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nd both the interest and difficulty of educational programs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lower grade students.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view its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in various environments through follow-up studies in the future.

한국어

인공지능의 발달과 함께 사회는 이전에는 없었던 다른 세상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에 따라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 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고, 저학년을 위한 교육과정 이나 프로그램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이미지 인식 이해 인공 지능 프로그램 총 6차시를 개발하였다.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타당도를 진행하여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이를 실험반에 적용하여 사전 사후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인공지능 이해도, 인공지능 태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교육 프로그램의 흥미도와 난이도 모두 저학 년 학생들에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의 적용과 효과성 검토가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국내·외 AI 교육과정
2.2. 머신러닝
2.3. 이미지 인식
2.4. 선행 연구 분석
3. 교육 프로그램 설계
3.1. 연구 대상
3.2. 연구 절차
3.3. 학습목표 선정
3.4. 교육 프로그램 타당도 검토
4. 연구 결과
4.1. 교육 프로그램 개발
4.2 교육 프로그램 적용
4.3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효과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란수 Lansu Jeong. 장산초등학교
  • 마대성 Daisung Ma. 광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