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단

1880년대 일본 ‘문명개화’론의 행방 : 사회진화론과 유니테리어니즘을 대하는 두 가지 사례

원문정보

Japanese Discourse on Civilization in the1880’s : Two Cases of Attitude Toward Social Darwinism and Unitarianism

이새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bout Nakamura Masanao and Fukuzawa Yukichi, who led the discourse on Japan’s civilization in the early Meiji period. Following the early Meiji period, they continued to contemplate the method of realizing civilization in the 1880s. In this context, the focus of this paper will be on why they had such high expectations on Unitarianism. Another point of this paper’s interest is how these two intellectuals reacted to Social Darwinism at the time. Social Darwinism was introduced to Japanese intellectuals in the 1880s and instantly it became the hottest issue. However, Nakamura and Fukuzawa barely showed any interest in Social Darwinism. Instead, one may say that they were more sympathetic to Unitarianism. This paper considers the fact that Nakamura and Fukuzawa actively showed their sympathy to Unitarianism while keeping their distance from the Social Darwinism are two aspects of their understanding of civilization. And it is believed that the logic of Confucianism, which was based on their academic and ideological basis, acted as the main cause for these characteristics to appear. Furthermore, this paper tries to point out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same generation who share the same educational background had difficulties in accepting the logic of Japanese Kokutai-ron.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logic of Confucianism underlying their thought.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way intellectuals of the same generation as Nakamura and Fukuzawa understand ‘religion’. And then, this paper will be explaining how the theory of Social Darwinism, which was widely spread in the 1880s, was used in politics and religion, and served as a lever to support the arguments of each stand. An analysis of how the two main characters of this paper whose thought were centered on ‘heaven(tian)’, understood Unitarianism will be provided in the last part.

한국어

본 논문은 메이지 초기 일본인의 서양 이해를 주도했던 나카무라 마사나오(中村正直, 1832~1891) 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1835~1901)가 메이지 10년대(1877~1886) 이후에 고민한 ‘문명개화’ 의 방법론에 대한 고찰한다. 그중 1880년대 후반에 그들이 공통적으로 기대를 걸었던 유니테리어니 즘(Unitarianism)의 보급이라는 측면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기대는 서양의 종교를 ‘문명 개화’ 실현의 방법으로 여기는 그들의 시각이 반영된 것이었다. 그런데 해당 시기는 일본 지식인 사회 에 진화론이 본격적으로 유입되어 정치가들부터 종교인까지 수많은 엘리트층 인사들이 사회진화론 의 열풍에 휩쓸렸다. 하지만 유니테리어니즘에 적극적인 동조를 보인 본 논문의 주인공 두 사람은 사 회진화론에는 거의 흥미를 보이지 않았다. 이처럼 나카무라나 후쿠자와가 사회진화론에는 거리를 두고 유니테리어니즘의 가르침에는 적극 적으로 다가간다는 사실은, 이들의 ‘문명개화’ 이해의 표리를 이루는 두 측면이라고 본 논문은 판단한 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는 데에는 그들의 학문적·사상적 기반에 있던 유학의 논리가 주요 한 원인으로 작동했다고 본다. 더 나아가 이들과 같은 세대의 이른바 ‘일신이생’(一身二生)의 경험을 공유하는 지식인들 중에서 1890년대 이후 일본의 국체론(國體論)의 논리를 수용하지 않는 사례가 상 당수 존재하는 데에도, 그들 사고의 기저에 있는 유학의 논리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내용을 검증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선 나카무라나 후쿠자와와 같은 세대의 지식인들이 ‘종교’를 이해하는 방식을 검토한다. 그리고 1880년대에 본격적으로 보급된 사회진화론이 정치나 종교 영역에서 어떻게 활용되어 각 진영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지렛대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 알아본 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 1880년대에 일본의 정치가 및 지식인들의 환영을 받으며 유입된 유니테리 어니즘이 가진 특징은 무엇이었고, ‘천’(天)을 중심으로 사고하는 본 논문의 두 주인공이 이를 이해한 방식에 대해 분석한다.

목차

1. 머리말
2. 메이지 초기 지식인들의 ‘종교’ 이해와 ‘문명개화’
3. 1880년대 일본의 사회진화론 열풍
4. 메이지 일본에서의 유니테리언 미션(Unitarian Mission)과 지식인들의 기대
1) 유니테리언 신앙의 기본 내용
2) 유니테리언 선교사의 일본 파견의 배경
5. ‘가르침’(敎)으로서의 유니테리어니즘
6. 맺음말

저자정보

  • 이새봄 LEE Saebom. 서울대, 연세대 출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