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명청교체기 또 다른 최초의 해로조천록 - 최응허(崔應虛)의 조천일기(朝天日記)

원문정보

Choi Eungheo’s Jocheonilgi, Another the First Writings of Joseon Envoys to Ming by Sea in Ming Qing Transition Period

왕가, 한종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cheonilgi (朝天日記) of Choi Eungheo (崔應虛 1572-1636), who departed from Joseon in May 1621, is another the first envoy writings to be written at the same time as Gahaejocheonrok (駕海朝天錄) of An Gyong (安璥, 1564-1640) who belonging to the same envoy group to Ming by sea. Currently, the manuscript of Jocheonilgi remains in Modeok Temple and is handed down to the world. Jocheonilgi is the book that records every day what he experienced and feelings during his mission from February 22 to November 20, 1621. As it is compared with An Gyong’s Gahaejocheonrok, First, Choi Eunheo’s is smaller and simpler than An Gyong’s. Second, Jocheonilgi describes a longer schedule than Gahaejochonrok, as it includes the journe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and after departure by ship. Third, the two show differences in content composition. Fourth, the narrative attitude between two is different. Choi Eungheo’s Jocheonilgi has a primary meaning as a historical material that supplements the authenticity of Gahaejochonrok records. In addition, unlike Gahaejocheonrok, it has detailed records of the preparation period before formal diplomatic activities. This makes it possible to clearly understand the full aspect of diplomatic activities carried out in 1621. On the other hand, Choi Eungheo’s Jocheonilgi shows an objective fact-oriented narrative attitud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travel guide for the diplomatic mission by sea in the future. This narrative attitude is believed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birth of sea diplomatic records with a humanistic geographic book style that was not see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owever, in order for this assumption to be more convincing, Further review is needed on the description of the diplomatic records of the sea routes during the Ming-qing transition period, including the diplomatic records of the land routes written before the Ming-qing transition period.

한국어

1621년 5월 조선을 출항한 사은사 정사 최응허의 조천일기는 동일 사행단 서장관 안경의 가해조천록과 동일한 시기에 저술된 또 다른 명청교체기 최초의 대명 조선 해로 사행록이며 현재 모덕사에 행초체의 필사본이 남아 세상에 전해지게 되었다. 조천일기 는 1621년 윤2월 22일부터 11월 20까지의 사행 임무를 수행하면 겪은 일과 견문, 그에 대한 소감을 일기체로 하루도 빠짐없이 매일 기록한 책이다. 최응허의 조천일기를 안경 의 가해조천록과 비교해보면 첫째, 최응허의 조천일기는 안경의 가해조천록보다 분량이 적고 간략하다. 둘째, 조천일기는 배에 승선하여 출항하기 전과 하선 후의 일정 기간의 여정까지 포함하고 있어 가해조천록보다 더욱 긴 일정을 기술하고 있다. 셋째, 둘은 내용 구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넷째, 문장의 서술 태도가 다르다. 최응허의 조천일기는 가해조천록 기록의 역사적 진실성을 보충하는 사료로서 1차적인 의미를 가지며 가해조 천록과 달리 본격적인 사행에 앞선 준비 기간의 상세한 기록까지 남아 있어 1621년에 이루어진 사은 사행의 전면모를 명확히 알 수 있게 한다. 한편, 최응허의 조천일기는 차후에 있을 해로사행단의 여행지침서로서의 기능을 염두에 둔 객관적인 사실 위주의 서술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서술 태도는 조선전기에는 볼 수 없었던 인문지리 서적 체계를 갖춘 해로조천록이 조선중기에 탄생하는 데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사료된 다. 그러나 이러한 추정이 좀 더 설득력을 얻으려면 명청교체기 이전 쓰여진 주요 육로 산문 일기체 사행록을 포함하여 명청교체기 산문 일기체 해로사행록의 서술 방식에 대한 통시적인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목차

Ⅰ. 서론 - 자료소개
Ⅱ. 본론
1. 판본검토
2. 최응허의 조천일기의 전체 내용
3. 안경의 가해조천록과의 비교
4. 자료의 가치
Ⅲ. 결론 - 앞으로의 과제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왕가 Wang Ke. 중국 웨이팡 대학(WEIFANG UNIVERSITY) 한국어학과 부교수
  • 한종진 Han Jong Jin. 중국 웨이팡 대학(WEIFANG UNIVERSITY) 한국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