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록관의 위험관리 현황 진단 연구 : 대학기록관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Diagnosis of Risk Management : Focusing on University Archives

고은빛, 김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level of records management by enhancing the risk management in university archives. Through surveys and post-interviews, the current status of risk management in university archive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were analyzed to identify problems and limitations in risk management in university archives, and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were made. First, the legal effects of risk management should be strengthened i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nd matters related to risk management should be stipulated. Second,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actively intervene to identify problems in risk management in university archives and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problem-solving. Third, the identity of university archives as independent organizations should be secu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professional and active records management tasks. Fourth, standards and manuals reflecting risk management practices for university archives should be prepared. Fifth, a sufficient budget must be secured to meet all necessary requirements for risk management. Lastly, cooperation in the performance of records management and risk management tasks should be achieved by raising awareness of university archives and their records management tasks among the heads of the institutions and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한국어

대학기록관은 국가기록원이 시행하는 기록관리 기관평가에서 평가 대상으로 지정된 2016년 이래로 타 기관 유형과 비교하여 평가 결과가 미진하다. 본 연구는 대학기록관의 기록관리 수준의 향상을 위해 위험관리에 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조사와 사후 인터뷰를 통해 대학기록관의 위험관리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대학기 록관 위험관리의 문제점과 한계를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위험관리에 관한 법적 효력을 강화하고, 관련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한다. 둘째, 국가기록원은 대학기록관 위험관리의 문제점 진단과 문제 해결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셋째, 독립기구로서의 대학기록관의 정체성을 확보하여 전문적⋅적극적으로 기록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넷째, 대학기록관의 위험관리 실무를 반영한 표준 및 매뉴얼을 마련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기록원, 대학 간의 협력, 개별 대학 등이 모두 기여해야 한다. 다섯째, 충분한 예산을 확보하 여 위험관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관장과 조직 구성원들의 대학기록관 및 기록관리에 관한 인식을 고취하여, 기록관리 및 위험관리 업무 수행에 협조를 구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방법 및 연구 문제
2. 이론적 배경
2.1 대학기록관과 위험관리
2.2 선행연구
3. 연구 설계
3.1 조사 대상 및 조사 방법
3.2 조사 질문지 구성
4. 대학기록관 위험관리 현황 조사
4.1 인구통계학적 사항
4.2 위험관리 일반 사항
4.3 위험관리 현황
5. 대학기록관 위험관리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
5.1 대학기록관 위험관리 현황 조사 결과
5.2 개선 방안
6.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고은빛 Eunbit Go. 서울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석사
  • 김현정 Hyunjung Kim. 서울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