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가곡 대여음의 성격과 교육내용 구성 방안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aeyeoeum in Gagok’ and Plans for Composing Educational Contents

임미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postlude nature of daeyeoeum in gagok and to present a plan for composing content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educational field. Daeyeoeum in gagok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form of gagok.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textbooks but also most introductory books describe daeyeoeum as a prelude. Daeyeoeum in current gagok is divided into one located before the first verse and one located after the fifth verse. It should be noted that daeyeoeum in gagok originally existed as a postlude after the fifth verse and a phenomenon occurred in which daeyeoeum changed into a prelude character as it came to later generations. Through this, the need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aeyeoeum in the form of gagok was evident. Daeyeoeum located after the fifth verse in gagok is definitely not a prelude. In other words, daeyeoeum becomes a prelude when it comes before the first verse, and a postlude when it comes after the fifth verse. In this regard, the explanation of the equation ‘daeyeoeum = prelude’ is not appropriate. More critically, it is unreasonable to call gagok as the five-verse form even though there exist jungyeoeum and daeyeoeum. Instead, it should be recognized as the five-verse and two-yeoeum form. The last part of the study presents plans for composing educational contents for daeyeoeum in gagok, such as the historical contexts of yeoeum in Goryeo folk songs and daeyeoeum in gagok, the attributes of daeyeoeum in gagok,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companiment forms of gagok and sijo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yeoeum, and the relevance between the culture of appreciating gagok in pungryubang(風流房) and the accompaniment form of gagok.

한국어

본고는 가곡 대여음에 대한 후주적 성격을 부각시키고 그 내용을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대여음은 가곡의 형식에서 중요한 요소 이다. 그런데 교과서뿐 아니라 대부분의 개론서에서 대여음을 전주(前奏)로 설명하는 문제를 보였다. 현행 가곡 대여음은 초장 앞에 위치하는 것과 5장 뒤에 위치한 것으로 나뉜다. 필자는 가곡의 대여음이 본래 5장 뒤에 후주격으로 존재했었던 사실과 후대로 오면서 대 여음이 전주적 성격으로 변한 ‘대여음의 전주화’ 현상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가곡의 형식 에서 대여음의 성격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가곡 5장 뒤에 위치한 대여음은 분명 전주가 아니다. 다시 말해서 대여음은 초장 앞에 오 는 경우에는 전주(前奏), 5장 뒤에 붙는 경우에는 후주(後奏)가 된다. 그런 점에서 ‘대여음= 전주’라는 등식의 설명은 적합하지 않다. 또한 중여음과 대여음이 존재함에도 가곡의 5장형 식으로 말하는 것도 불합리하며 5장 2여음 형식이 정확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가곡 대여음에 관한 내용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 구성 방안 으로 고려속요의 여음과 가곡 대여음의 역사적 맥락, 가곡의 형식과 대여음, 여음의 유무에 따른 가곡과 시조 반주형태의 차이, 풍류방의 가곡 향유 문화와 가곡 반주형태의 관련성 등 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가곡 관련 내용 검토
Ⅲ. 고악보와 현행 대여음의 위치 비교
Ⅳ. 가곡 대여음에 관한 내용 구성 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임미선 Lim, Mi-Sun. 단국대학교 음악ㆍ예술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