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OVID 19 방역행동에 있어서 낙관적 편견과 통제성 편향의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the impact of optimistic bias and control illusion in COVID 19 Preventive Behavior

정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addition to optimistic bias which can be a biased phenomenon in perceived susceptibility, including illusion of control which is a distorted phenomenon,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important variables and COVID 19 personal preventive behaviors and social distancing practice. Conducting Survey utilizing online pannel from Macromill Embrain, the present study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setting personal preventive behavioral variables such as mask wearing, hand washing, using hand sanitizer as independent variable, and analyzed how these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 control illusion and optimistic bias. As a result, COVID 19 personal preventive behavior didn’t have direct effect on optimistic bias and control illusion except for hand washing. Finding, also, showed that control illusion affected optimistic bia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 such as gender and age.

한국어

본 연구는 지각된 취약성(Perceived Susceptibility)에 있어서 왜곡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 낙관적 편견 외에, 지각된 통제성(Percived Controllbility)에 있어서의 왜곡현상인 통제성 편향(Illusion of Control)을 포함하여 이들 두 변인이 COVID 19 관련 개인방역행동 및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과 어떠한 영향관계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마크로밀 엠브레인의 온라인 패널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마스크 착용, 손씻기, 손소독제 사용 등의 개인방역행동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통제성 편향과 낙관적 편견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 아울러 낙관적 편견이 사회적 거리두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회귀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OVID 19 개인방역행동 중 손씻기 실천을 제외하고는 통제성 편향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통제성 편향이 낙관적 편견에 영향을 주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성별과 연령 등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개인방역행 동이 통제성 편향에 주는 영향, 통제성 편향이 낙관적 편향에 주는 영향, 그리고 낙관적 편향이 사회적 거리두기에 주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향후 사회적 거리두기 촉진을 위한 개입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타겟별 차별화된 전략 및 메시지를 마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문헌연구
2.1 낙관적 편견과 질병예방행동
2.2 통제성 편향(Illusion of Control)과 낙관적 편견
2.3 낙관적 편견과 인구학적 변인의 관계
3. 연구방법
3.1 표본 선정
3.2 변수의 측정
4. 연구결과
4.1 응답자의 속성
4.2 측정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4.3 개인방역행동 실천과 낙관적 편견 (연구가설1)
4.4 통제성 편향과 낙관적 편견, 그리고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간 관계 (연구가설 2, 3)
4.5 개인방역행동 실천과 통제성 편향 (연구문제1)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정현주 Hyeonju Jeong. 가톨릭관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