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가정환경 수정과 과제기반 중재의 융복합 접근이 지역사회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 및 활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a Convergence Approach of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and Task-oriented Intervention on Fall Efficacy and Activity Level of Person with Stroke in the Community

김수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convergence approach, which applies both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applied with assistive technology and task-oriented intervention using a fall safety checklist, on the fall efficacy and activity level of stroke patients. 41 persons with stroke(21 experimental groups and 20 control group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environmental modification and the task-oriented intervention using the fall safety checklist for 4 weeks.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only the environmental modifica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Korean Activity Card Sort (KACS) and the Korean Falls Efficacy Scale-Korean version (FES-K) were used for evalu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ll efficacy and activity level chang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 fall efficacy and activity level after the intervention. By apply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the clinical field, it will be possible to support stroke patients to live safely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보조공학 기술을 적용한 가정환경 수정과 낙상 안전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과제기반 중재를 함께 적용하는 융복합 접근법이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활동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뇌졸중 환자 41명 대상자(실험군 21명, 대조군 20명)는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졌다. 실험군에는 환경수정과 낙상 안전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과제기반 중재를 4주간 적용하였다. 대조군에는 가정환경 수정만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에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orean Activity Card Sort, KACS), 한국형 낙상효능감 측정도구(Falls Efficacy Scale-Korean version, FES-K)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낙상효능감과 활동수준의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모두 중재 이후에 낙상효능감과 활동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임상 현장에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가 지역사회에서 안전하게 생활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자
2.2 연구도구
2.3 중재 방법
2.4 통계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
3.2 실험군과 대조군의 낙상 효능감과 활동수준의 변화량의 비교
3.3 집단 내 중재 전과 후의 차이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수경 Su-Kyoung Kim.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