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고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온라인 수업 환경 및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class environ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classes of high school students

김진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online class environ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219 12th grade students in Sejong B High School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implement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moderate or higher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online class environ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the model fit of the structural model among variables was good. Self-directed learning had an effect on the online class environment, and the online class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However, self-directed learning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The researcher found the implication that learners' online class satisfaction showed a synergistic effect whe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ducators’ excellent class environment are created. Also, the researcher proposed to analyze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of various learners.

한국어

본 연구목적은 일반고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 온라인 수업 환경, 그리고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세종 B고교 3학년의 219명이며, 상관관계와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자기주도 학습과 온라인 수업 환경 및 학습만족도 간에는 중간 이상의 상관관계를 있었다. 둘째로, 측정변인들 간의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도 양호했다. 자기주도 학습은 온라인 수업 환경에 영향을 주고, 온라인 수업환경은 학습만 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자기주도 학습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은 없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만족도는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교사의 훌륭한 수업환경의 조성이 이루어질 때 시너지 효과를 얻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대하여 다양한 학습자의 개인, 가정 및 학교요소를 종합적으로 투입하는 분석할 것을 제안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온라인수업
2.2 온라인수업의 학습만족도 및 영향변인
2.3 연구모형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변인
3.3 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변인들의 상관 및 기초통계
4.2 측정모형 적합성 검증
4.3 구조 모형의 적합성과 인관관계 검증
4.4 온라인 수업환경의 매개효과 검증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진철 Jin-Cheol Kim. 교육부 교육연구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