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사회적경제 기업에 관한 주류 언론 담론과 대응 담론 : 이중적 존재성과 대항적 정체성

원문정보

Discourse and Counter-discourse on Social Economy Firms in Media : Dual Existence and Alternative Construction of Social Economy Identity

이진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s to critically analyze the Korean mainstream media reality that the social values of social economy firms are not sufficiently communicated. We used the ‘Bigkinds’ for the contents qualitative analysis on ‘social economy’ and ‘social firm’. The SK Group, main performer of social responsibility, is creating a variety of discourses on social economy firms and Korean public institutions also follow it as a role model. As a result, social economy firms become a beneficiary of social responsibility. Social economy actors are politically pursuing the citizen participation, from government-led to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Moreover, it is positioned as a platform for solving problems in all areas of the local community, such as education, culture, art, and health, not just centered on the vulnerable class anymore such as poverty and unemployment. Through the 10-year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the Korean social economy meets a new generation and responds to the new era while aiming for the symbolic value of ‘21st century community’. In order to spread social values in the new economic system, social economy actors should promote the production and diffusion of counter-discourse to induce citizen particip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기업의 사회적 가치가 충분히 소통되지 못하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빅카인즈(Bigkinds)를 이용하여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경제’에 관한 기사를 추출하고 담론 분석을 한 결과, 사 회적 책임의 주된 수행자인 SK 그룹이 사회적경제 기업을 바라보는 다양한 담론 을 생성하고 있으며 정부와 공공기관 역시 이를 역할 모델로 따르고 있었다. ISO 26000이라는 국제 의제로 사회적 책임과 사회적경제 기업이 융합되면서 사회적 경제 기업 역시 사회적 책임의 주체임에도 여전히 타 조직의 ‘사회책임의 수혜자’ 라는 수동적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사회적경제 주체들은 정치적으로 정부 주도에서 지자체와의 협력으로, 나아가 시민이 주도하는 사회적경제를 지향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경제는 빈곤 과 실업이라는 취약계층 중심의 활동에서 교육, 문화, 예술, 보건 등 지역사회 모 든 분야의 문제해결의 플랫폼을 추구하고 있다. 10여 년간의 제도화 과정을 거치 면서 사회적경제는 새로운 세대를 만나 ‘21세기형 공동체성’이라는 상징적 가치 를 지향하면서 새 시대에 대응하고 있다. 사회적경제 기업이 새로운 경제 체제에 서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기 위해 대항 담론 생산과 확산을 도모하여 시민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목차

1. 머리말
2. 연구 대상과 방법
3. 주류 언론이 인식하는 사회적경제 기업
4. 사회적 책임 실현의 주체로서의 사회적경제
5.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이진랑 LEE, Jinrang.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초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