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Mediating Effect of Task Burden Perception on the Influence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according to Subjective Happiness on the Forecasting of Leisure Pleasure
초록
영어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office workers with lower subjective happiness(SH) perceive a greater work load, and thus predict less enjoyment of leisure ahead of time. This study was made to explore the answer to this question and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perceived task burden(PTD) and forecasting of leisure pleasure(FLP) as the mechanism. To this end, the researcher measured the SH of 300 people at work and classified them into a group with high SH and a group with low SH. In addition, the researcher designed and presented conditions in which co-worker's performance was lower, equal, and higher than mine, and the participants randomly assigned to each condition evaluated PTD and FLP. As a result, in the group with low SH, the PTD increased when the performance of co-worker was higher than that of me, and the PTD was lower when the performance of co-worker was equal to or lower than that of myself. Also, the group with low SH predicted that leisure would be enjoyable only when the performance of co-worker was lower than that of mine, and predicted that leisure would not be enjoyable when the performance of co-worker was higher or equal to me. 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TD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SH on the FLP.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creation of an incomparable workplace culture, work-life balance.
한국어
본 연구는 주관적 행복이 낮은 직장인일수록 업무 부담을 크게 지각하며, 이에 따라 앞둔 여가의 즐거움을 낮게 예측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해보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직장인 300명의 주관적 행복을 측정한 후, 주관적 행복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분류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동료의 성과가 나보다 낮은 조건, 같은 조건, 높은 조건을 설계하여 참가자들에게 제시하였고, 각 조건에 무선 할당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업무 부담과 여가의 즐거움을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주관적 행복이 낮은 집단은 동료의 성과가 나보다 높을 때는 지각된 업무 부담도 높아지고, 동료의 성과가 나보다 같을 때와 낮을 때는 지각된 업무 부담이 낮아졌다. 또한 주관적 행복이 낮은 집단은 동료의 성과가 나보다 낮을 때만, 여가가 즐거울 것으로 예측하였고, 동료의 성과가 나보다 높거나 같을 때는 여가가 즐겁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게다가 주관적 행복이 여가의 즐거움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업무 부담이 부분 매개하는 효과가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교하지 않는 직장문화 조성, 일과 삶 균형 등에 시사점을 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사회비교와 주관적 행복
2.2 주관적 행복과 지각된 업무 부담
2.3 주관적 행복과 여가의 즐거움 예측
2.4 현 연구
Ⅲ. 방법
3.1 설계
3.2 연구대상
3.3 연구도구 및 절차
Ⅳ. 결과 및 논의
4.1 주관적 행복 집단 구분
4.2 지각된 업무 부담
4.3 여가의 즐거움 지각
4.4 회귀분석
Ⅴ. 종합논의
5.1 요약 및 해설
5.2 시사점
5.3 한계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