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neonatal nursing care education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efficacy, clinical competency. A one-group pre-and post test design was used. A total of 122 students participat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3 to June 4, 2021,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only for studen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gave written consent to participate. For the simulation-based neonatal nursing care education, a total of three steps of preparation for scenario implementation, scenario implementation, and debriefing were applied in groups of 3-4 people of 4.5 hou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imulation-based neonatal nursing care educ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efficacy, clinical competenc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imulation-based education in the nursing care of children can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an supplement the observation-oriented clinical practice of child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간호 교육을 개발・적용하여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 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의 실험연구로 D시 소재 일 간호대학생 3학년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5월 3일부터 6월 4일까지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서면동의 한 학생에 한해 자가보 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간호 교육은 3-4명을 한 그룹으로 하여 시나리오 구현을 위한 준비, 시나리오 구현, 디브리핑의 총 3단계의 4.5시간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기반 신생아간 호 교육 전・후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아동간호학 분야에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관찰 위주인 아동간호 임상실습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연구절차
2.5 자료수집 방법과 윤리적 고려
2.6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시뮬레이션 실습 전후의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의 차이
3.3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간의 상관관계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