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간호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Dual-income Parents’ Work-Family Conflict on Depression :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정기정, 성미현, 송지현, 하지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of dual-income parents. The subjects were 214 dual-income parents aged 20 years and the data collected online in April 2021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4.0 statistical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three stag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which showed that work-family conflic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upport (β=-.188, p<.01), which was the mediating variable, and depression (β=.539, p<.001), which was the dependent variable. In the third stage, the study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obel test result as well (z=2.468, p=.013). In conclusion, the study confirms the need to establish strategies and arrange social support to solve the emotional problems of dual-income parents.

한국어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맞벌이 부모의 정서적 관리에 대한 실천적 지원 근거 마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이하의 자녀를 둔 20세 이상의 맞벌이 부모 214명이며, 2021년 4월에 온라인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WIN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가정 갈등, 사회적 지지 및 우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매개효과를 확 인하기 위해 3단계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1단계와 2단계에서 일-가정 갈등은 매개 변인인 사회적 지지(β =-.188, p<.01), 종속 변인인 우울(β=.539, p<.001)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3단계에서는 일-가정 갈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는 Sobel 검증 결과에서도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z=2.468, p=.013). 본 연구 결과는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과 이와 관련된 우울에 사회적 지지 의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으며 맞벌이 부모의 정서적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 수립 및 사회적 지원 마련의 당위성을 제공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대상 및 표집 방법
2.3 연구 도구
2.4 자료 분석
3.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가정 갈등, 사회적 지지 및 우울의 차이
3.3 대상자의 일-가정 갈등, 사회적 지지 및 우울 정도
3.4 대상자의 일-가정 갈등, 사회적 지지 및 우울간의 상관관계
3.5 일-가정 갈등과 우울 간의 관련성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정기정 Gijung Jung.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연구원
  • 성미현 Mihyeon Seong.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송지현 Ji-Hyeun Song.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하지선 Ji Sun Ha. 부산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