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재취업한 산재 노동자의 업무능력, 자기효능감, 직무 만족, 후유증, 동료관계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Relationship Between Work Ability, Self-efficacy, Work Satisfaction, Sequelae and Workplace Relationships of Reemployed Workers Who Experienced Industrial Accidents

김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bility (WA) and work satisfaction (WS) perceived by reemployed workers who have experienced industrial accidents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dustrial accident sequelae and workplace relationships (WR) on these variables. The data of 976 newly employed workers were selected from the data of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collected in 2018. The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rough SPSS and AMOS programs. It was found that WA had a positive effect on WS through S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pain, the severity of the disability, and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had a negative effect on WS through WA and SE sequentially. Meanwhile, it was found that the WR was affected by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WS through WE. These results emphasize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support to manage sequelae and increase SE in order to help victims of industrial accidents return to the job market and live satisfactorily. It also suggests that SCCT is useful in explaining WS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한국어

본 연구는 사회인지 진로이론을 적용하여 산업 재해 이후 재취업한 노동자의 자기효능감이 업무 능력과 직무 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산재 후유증과 동료 관계가 위 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2018 년에 수집된 산재보험패널조사 자료를 토대로 재취업한 성인 976명의 자료를 선별하였으며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업무 능력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후유증과 관련된 장해의 심각성, 일상생활 수행능력, 통증의 정도는 업무 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순차로 매개하여 직무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의해 영향을 받은 동료 관계는 자기 효능감을 매개로 직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후유증을 관리하고 자기효능감을 개선하 도록 돕는 것을 통해 산재 노동자가 취업시장으로 복귀하여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음을 나타 내며 사회인지 진로이론이 이들의 직무 만족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방법
3.1 연구 대상
3.2 측정 변인
3.3 자료 분석
4. 결과
4.1 측정의 타당도와 신뢰도
4.2 연구 변인의 일반적 특성
4.3 연구 변인의 구조적 관계
5.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도희 Do-Hee Kim.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