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정부 R&D 지원 중소기업의 사회 환원 활성화 요인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Activation factors of Social Return for Government R&D supported SMEs

김기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government R&D supported 310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three main sectors were surveyed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factors related to social return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level of public awareness of social return and willingness of government R&D supported SMEs are established to some extent, the internal culture and system of SMEs for social return implementation are insufficient, and therefore policy aiming should be placed on establishing internal system of SM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policy delivery mechanism should be supplemented to positively increase willingness of SMEs and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growth of SMEs must precede for activation of social return.

한국어

본 논문은 정부 R&D 지원 중소기업의 사회 환원 실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다차원 결정요인을 규명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310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사회 환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이와 관련한 주요 요인 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에 따르면 정부 R&D 지원 중소기업의 사회 환원에 대한 대중적 인식 수준이나 중소기업의 의지는 어느 정도 갖추어졌지만 사회 환원의 실행을 위한 중소기업 내부의 문화 나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중소기업의 사회 환원 내부시스템 구축에 정책적 조준 이 우선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정부의 사회 환원 정책은 중소기업의 사회 환원 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정책 전달 장치를 보완하여야 하고, 중소기업의 사회 환원 활성화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성장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문헌 고찰
2.1 기업의 사회 환원 개념
2.2 기업의 사회 환원 관련 외부영향 요인
2.3 기업의 사회 환원 관련 내부영향 요인
3. 연구 방법
3.1 설문설계
3.2 설문조사 결과
4.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4.1 모형 설정
4.2 모형 평가
4.3 분석결과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기웅 Ki-Woong Kim.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