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노인의 노쇠 수준과 수면 시간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Frailty and Sleep Duration of the Older Adults in Korea

구혜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frailty and sleep duration in the Korean older adults using data from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Ⅷ-1, 2019). The subjects were 1,690, complex sample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program. As a main result, sleep duration simultaneously adjusted for general, health behavior and disease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rail level, but 'not recommended' sleep duration is significantly decreased 70~74 years old, significantly increased lower level of education, lower level of income, and a lot of perceived stress. Finally, personal and social efforts are required to prevent frailty, improve sleep duration of older adults.

한국어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노인의 노쇠 수준과 수면 시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1,690명이었고,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빈도 분석, 기술 통계, 교차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 노쇠한 대상자는 8.9%, 수면 시간이 ‘부적당(<5시간, >9시간)’한 경우는 13.0%였다. 노쇠 수준과 수면 시간만의 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부적당’ 한 수면을 취하는 경우는 ‘비 노쇠’, ‘전 노쇠’ 수준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하지만,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행태․질 병 특성을 동시에 보정하였을 때에는 노쇠 수준과 수면 시간은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며 수면 시간이 ‘부적당’한 경우는 연령 ‘70~74세’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낮은 교육 수준, 낮은 소득 수준 및 높은 스트레스 인지 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노쇠를 예방하고 수면 시간을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개인과 사회의 노력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2.5 연구 윤리
3.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수면 시간과의 차이
3.2 대상자의 건강행태․질병 관련 특성 및 수면 시간과의 차이
3.3 대상자의 노쇠 수준 및 수면 시간과의 차이
3.4 대상자의 수면 시간
3.5 대상자의 노쇠 수준과 수면 시간의 관계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구혜자 Hye-Ja Gu.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