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애착이론에 근거한 돌봄과 그것의 구성요인

원문정보

Caregiving and its Constituting Factors Based on Attachment Theory

반신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Covid-19 Pandemic keeps individual’s complaints and stress increasing, it is demanded to develop caregiving further. It matters more and more to care for the need professionally even in Christian ministers, members, and groups. To grow the capacity, caregiving and its constituting factors are to be examined in terms of the attachment theory. Caregiving and attachment are either side of a coin and both of them are innate, goal-oriented, and functional in that they are behavioral systems. And both include affective process and cognitive process, that is called ‘internal working model.’ By the attachment theory, the optimal functioning of caregiving results from secure attachment. They are mediated by sensitivity and emotional regulation. Sensitivity, an environmental factor, includes practical skills for caregiving. Specifically, caregivers provide safety, attunement, soothing, recognition, and support consistently and reliably. Emotional regulation is based on positive self-esteem derived from mental representations of the attachment figure’s sensitive relationships experiences. It reduces the needs to preoccupy the self, inflate the self-esteem defensively, or to avoid personal distress for the protection of the self. Rather, it increases the capacity to assess and respond the demands or states of the need and their situations effectively.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caregiving in terms of the attachment theory, there are a couple of suggestions for enhancement in pastoral care. First, caregiving is so complex that it is involved in dynamic equilibrium. It includes support for exploration and mastery as well as provision of protection and soothing. But one may be contradictory to the other. To reconcile the two dimensions, a caregiver’s dynamic equalibrium matters. Second, caregiving includes both emotional regulation and sensitivity. To witness and process personal distress functionally, caregivers can regulate their own emotions. In addition, They employ practical skills or behaviors to facilitate the senses of being cared for and mastering in the need.

한국어

코로나19 상황으로 문제에 대한 호소도 늘어나고, 돌봄의 전문성에 대한 요청도 증 가했다. 그것은 기독교 목회자, 신자, 그리고 신앙공동체가 제공하는 목회적 돌봄도 전문성의 제고를 요구한다. 이를 위해, 돌봄과 그것의 구성요인에 대한 심리학, 특히 애착이론을 살펴본다. 애착과 돌봄이 밀접한 관계에 있고, 그것들의 특징을 행동체계 라는 관점에서 살펴볼 때, 그것은 선천적이고, 목표지향적이고. 기능적이다. 그리고 내 적 작동모형이라는 인지적 측면 및 감정적 측면과 결합되어 있다. 애착이론에서 효과적 돌봄은 안정형 애착에서 이어진다. 이 연결은 민감성과 감정 조절로 설명된다. 민감성은 환경적 요인이고 돌봄의 구체적 기술을 포함한다. 돌봄이 필요한 사람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사람이 일관성과 신뢰성을 갖고 안전, 조율, 진정, 존재의 인정, 성장의 격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감정조절은 자신에게 민감성을 제공 한 애착 인물의 표상을 내면화해서 긍정적 자존감을 형성한다. 그러면 자신에게 집착 하거나 자신을 보호하려고 상대방의 고통을 회피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대방과 환경 의 요구와 변화에 효과적으로 지각하고 반응하게 된다. 애착이론에 근거해서 돌봄을 분석한 후 목회적 돌봄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은 복잡하기 때문에 역동적 균형이 필요하다. 상대방의 보호와 위로의 제공 뿐만 아니라 성장에 대한 격려와 공간의 제공이 필요하다. 양자는 모순처럼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역동적 균형이 필요하다. 둘째, 돌봄은 감정조절과 민감성의 기술이 필요하다. 감정을 제공하는 사람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을 때, 상대방과 적절 하게 접촉하고 작업할 수 있다. 그리고 구체적 행동으로 나타나는 기술을 사용해서 상대방이 돌봄을 느끼고 성장하도록 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애착
1. 애착행동체계
2. 애착 유대
III. 돌봄
IV. 돌봄의 구성요인: 민감성과 감정조절
1. 민감성
2. 감정조절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반신환 Pan, Shin-Hwan. 한남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기독교상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