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명작무 지정 현황 및 활성화를 위한 소고(小考)

원문정보

A Study of Designation of Myungjakmoo and Revitalizing Plan

함선호, 차수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dopted a literature study as a research metho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revitalizing Myungjakmoo by studying the designation of Myungjakmoo and intrinsic values. Since Kim Jin-geol Sanjo began to be designated as a Myungjakmoo in 1992, a total of 19 dances have been designated until Jeong Jae-man Sanjo (Cheongpung Myeongwol) as of 2021. It is the order of Kim, Jin-gul Sanjo, Kim, Baek-bong Boochaechoom, Cho, Taek-won Gasahojeop, Choi, Hyun Bisang, Song, Beom Chamhoi, Kim, Moon-sook Daegual, Choi Hee-sun Dalgubeol Ipchoom, Cho, Heung-dong Hanryangmoo, Kim, Sang-gyu Hoarang, Bae, Myung-gyun Honryung, and Hwang, Moo-bong Hapjang, Lee, Sook-hyang Bamgil, Bae, Jeong-hye Pungryu Janggo, Guk, Soo-Ho Janghanga, Eun, Bang-Cho Hoisang, Hwag, Moo-bong Sanjo, Kim, Baek-Bong Hwagwanmoo, Han, Sun-Seo Obuk, and Jeong, Jae-man Sanjo (Cheongpungmyeongwol) The criteria for selecting a Myungjakmoo are defined based on the date of the premiere, the history of the holder, the origin and origin of the work, the intention of creation, the content of the work, the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of the work, the transmission genealogy, the frequency of performances, papers, reviews, and articles. This study can find its meaning as the first academic research on Myungjakmoo, and proposals for revitalization are as follows. The formation of an academic system and intellectual body of Myungjakmoo, clear regulations related to the overlapping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treasure and city and provincial designated cultural treasure, and recording work for continuous discovery and research were derived.

한국어

본 연구는 명작무 지정 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문헌연구 방법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명작무 지정 현황은 1992년 김진걸 산조가 최초로 지정되기 시작한 이래 2021년 현재 정재만 산조 (청풍명월)까지 총 19개 종목이 지정 완료되었다. 김진걸 산조, 김백봉 부채춤, 조택원 가사호접, 최현 비상, 송범 참회, 김문숙 대궐, 최희선 달구벌 입춤, 조흥동 한량무, 김상규 화랑, 배명균 혼령, 황무봉 무아의 합장, 이숙향 밤 길, 배정혜 풍류장고, 국수호 장한가, 은방초 회상, 황무봉 산조, 김백봉 화관무, 한순서 오북, 정재만 산조 (청풍명 월)가 명작무로 지정된 순서이다. 명작무의 선정 준거는 초연 일자, 보유자의 이력, 작품의 원류와 유래, 창작 의도, 작품 내용, 작품의 특징 및 구성, 전승 계보, 공연 빈도수, 논문, 평론, 기사 등의 근거 자료를 중심으로 규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명작무에 대한 최초의 학술적 연구물로써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활성화를 위한 제안은 다음 과 같다. 명작무의 학문적 체계 및 지식체 형성,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지정무형문화재의 중복지정과 관련된 명확 한 규정, 학술적 근거의 지속적 발굴과 연구를 위한 기록화 작업 등이 활성화에 필요한 조건으로 도출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자료의 타당성
명작무 지정 현황
1. 명작무 선정 현황
2. 선정된 명작무의 가치 및 특징
3. 명작무 지정 준거
논의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함선호 Ham, Sun-Ho. 숙명여자대학교, 박사과정
  • 차수정 Cha, Su-Jung.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