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Effectiveness of Video Intervention Using Natural Images for Anxiety in a Clinical Sample - Results from an Experiment Using Psychophysiological Indicators -

원문정보

불안장애 임상군에 대한 자연물 영상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연구 - 심리생리적 지표를 중심으로 -

Do Hee Kim, Ki Seong Kim, Hye Sun Joo, Sang Jeong Moon, Ye Jin Han, Young Jun Choi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eveloped a video intervention using natural images for the anxiety clinical sample group, and it examined its effectiveness, focusing on psychophysiological indicators. After selecting the anxiety clinical sample group, it assigned them into an experimental group(n=15) and a control group(n=15). In the experimental group, it conducted 12 sessions of video programs using natural imag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even at a follow up time, it measured anxiety(General Anxiety Disorder, Trait and State Anxiety), mental well-being,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baseline EEG. As a result, this study cannot identify significance of its interaction effect between time interval and conditions from every variable. However, anxiety decreased after intervention than before, and it did not increase at follow-up than after,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negative aff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showed decreased beta, high beta and alpha waves while gamma and theta wave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video program can be used as relaxation method to help control anxiety and negative affect.

한국어

본 연구는 불안장애 임상군을 대상으로 자연물 영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심리생리적 지표를 중심으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불안장애 임상군을 선정한 후 실험집단(n = 15)과 통제집단(n = 15)에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자연물을 활용한 영상 프로그램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처치 사전, 사후, 추후 시점에 걸쳐 불안(범불안장애 증상, 상태 및 특성불안), 정신적 웰빙, 긍정 및 부정정서와 기저 선 뇌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변인에서 시점과 처치조건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실험집단에서만 사전보다 추후에 불안이 감소하였으며, 사후보다 추후에 불안이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실험집단 부정정서가 처치 전⋅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베타파 및 고베타파, 알파파가 감소하였으며 감마 및 세타파가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자연물 영상 프로그램은 불안 및 부정정서 조절을 돕는 이완 기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영상 프로그램
3. 연구 절차
4. 측정 도구
5.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정
2. 영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Ⅳ. 논의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Do Hee Kim Korea Trauma Research & Education Institute
  • Ki Seong Kim Biobrain, 408 Daedeok-daero, Seo-gu, Daejeon, 35203, Korea
  • Hye Sun Joo Korea Trauma Research & Education Institute
  • Sang Jeong Moon Department of Liberal Arts, Gimcheon Univercity
  • Ye Jin Ha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Team, Cheong Ju University
  • Young Jun Choi Department of Division of Media Contents, Cheong Ju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