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competency reinforcement after confirming whether instructors and learners experience smart learning and learners have core competencies such as creativity, collaboration ability and convergent thinking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d due to COVID-19. The research method was a Mixed method, combina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503 students from freshmen to seniors enrolled in “C” college participated from September 01 to December 04, 2020. We analyzed the data based on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e found that learning motivation increased, after applying smart learning,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16.28, p<.001).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fficacy increased from 3.21 ± 0.32 to 4.01 ± 0.22, which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21.03, p<.001). Pessimistic thinking tendencies increased from 3.14 ± 0.21 to 3.24 ± 0.19,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93, p=.259).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smart learning, we found 10 themes and 4 theme clusters. Based on the results, we like to say that we should reduce the gap in the use of digital devices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SMART 혁신교수법을 통해 2019년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하 COVID-19) 으로 인하여 달라진 교육환경에서 교수자들과 학습자들의 스마트러닝 경험과 향후 미래 역량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연구 방법은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혼합한 Mixed method로, C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중 본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스마트러닝 학습자 총 503명이다. 그 중 15명의 학습자와 15인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인 심층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분석방법에 근거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학습동기는 스마트러 닝 적용 후 3.18 ± 0.22에서 3.98 ± 0.22점으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 = 16.28, p < .001). 스마트러닝의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결과 4개의 범주와 10개의 주제 모음, 26개의 주제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와 교수자 간 디지털 기기 사용의 격차를 줄이고 학습자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교수학습법이 개발,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연구도구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스마트러닝
2. 학습자와 교수자의 스마트러닝 경험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