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Problems and Conditions of Korea Traditional Performing Arts Hall
초록
영어
Argues about music hall or performing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have been mainly related to acoustics and stage types, the viewpoints of which have been for Korean tradition music majors, not for contemporary citizens. Performing arts should be processes forming collective memory of people, and establishing social and cultural symbols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It can be argued that performing centers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hould be active spaces for contemporary people participat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한국어
국악공연장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들이 있었지만 대부분은 음향과 무 대형태 중심이었으며, 이는 시민의 시각이 아니라 국악전공자의 시각에 서 주로 논의가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국악공연장은 국악전용공간과 다른 개념이며, 국악 전공자의 기예표출 공간이 아니라 국악을 찾는 시민의 공간이라는 점이 본질이다. 즉 국악공연장은 ‘국악 속으로 시민을’ 참여시키고 실천시키기 위한 공간이어야 한다. 따라서 하드웨어 중심의 논의에서 벗어나 시민의 기억참여와 시대적ㆍ사회적 상징이 맥락화되 는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인식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인력의 확보 및 재생산이 국악공연장의 가능성을 위한 핵심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목차
1. 서
2. 공연과 공연장의 개념 문제
1) 공연장의 역사적 맥락과 ‘근대주의’
2) 공연장의 형태와 음향
3) 공연장의 본질과 개념
3. 국악공연장의 가능성과 과제
1) 국악공연장이란 무엇인가?
2) 국악전용공간은 가능한가?
3) 국악공연장은 어떻게 가능한가?
4. 결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