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주제 : 한국전통공연예술 비평의 비판적 점검과 전망

창극 비평의 흐름을 통해 본 창극의 타자성

원문정보

The Otherness of Changgeuk in the History of Changgeuk Criticism

이진주, 백두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searches the history of Changgeuk criticism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en it had emerged to the end of the 20th. Born in a civilized age when the inflow of culture was rapidly evolving from Japan and the West, the new genre was compared to other similar genres that had brought in from outside. In addition, Changgeuk had to prove the reason for its existence through Pansori that was the matrix of it, During the civilized period, Changguek was alienated or criticized under the indifference of the restorers who regarded the play as a means of social enlightenment,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Japanese Shinpa drama, it became an old drama as the other of the new drama. Moreover, Changguek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the academic and critical community because it was treated as a popular entertainer. In the period of the 1930s, when Western music and its musical theaters were considered developed, Changgeuk was not even judged as up to Opera as musical dramas, although it made a formal change. After liberation, in the midst of a great flow of nationalism. Changgeuk was also expected to become a national art as the successor to pansori, a traditional art. On the one hand, however, it was still considered to be a poor form of opera, while being used as a means to restore Pansori tradition. Through the 1990s, Changgeuk wa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genre, that is different from Pansori, and the material and music of Changgeuk were actively discussed, But the point of view that the style of Changgeuk was still not complete was not changed. Looking at the flow of its criticism, Changgeuk remains an unfinished style that should be modeled on something else, even if it is not the subject of criticism about Changgeuk itself. No art or existence can exist without the other as a solitary self. But beyond the extent to which the self is conscious of the batter, the situation is not balanced in which the other is at the center and the subject can prove itself through only the other, or is forced to follow it. The discussion of what the style of a genuine Changgeuk is not in comparison to a western play, opera, operetta, musical or Pansori, but in a wide range of wonderful Changgeuk works themselves.

한국어

본 논문은 창극이 탄생한 개화기 이래 2000년대 이전까지 창극 비평 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본과 서구로부터 문화의 유입이 급속 도로 전개되던 개화기에 태어난 창극은, 판소리를 분창 형식으로 공연 하게 된 이후부터 지금까지도 외부에서 들어온 다른 유사한 장르와 비 교 하에 놓이는 숙명을 지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창극의 모태가 되 는 판소리를 통해서 자신의 존재 이유를 증명해야 하는 숙명을 타고 났다. 개화기에는 연극을 사회 계몽의 수단으로 보았던 연극개량론자의 무관심 속에서 소외되거나 비난 받았고, 일본의 신파극이 들어온 이후 에는 신파극의 타자로서 구연극 혹은 구극이 되었다. 더구나 대중연예 물로서 취급되면서 학계의 주목을 거의 받지 못했다. 서구의 음악과 음 악극이 선진문물로 인식되기 시작한 1930년대 이후의 창극은 형식상 큰 변화를 꾀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페라와 비교되면서 음악극 양식으로 서 오페라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받기도 했다. 해방 이후 민족주 의의 큰 흐름 속에서는 전통예술인 판소리를 계승한 창극이 민족예술로 서 기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여전히 오페라에 비해서 양 식적으로 미진하다는 인식이 깔려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 판소리 전통 을 회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강구되었다. 1990년대를 지나면서, 창극은 판소리와 다른 독자적인 장르로 인정받았고, 창극의 소재와 음악에 대 한 논의가 활발해졌지만, 여전히 창극의 양식은 미완성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창극 비평의 흐름을 볼 때, 창극은 창극 자체에 대한 비평 안에서조 차 주체가 되지 못하고, 다른 무엇을 모델로 삼아야 하는 미완의 양식 으로 남아 있었다. 혹은 여전히 그러하다. 어떤 예술도, 어떤 존재도 타 자 없이 고립된 자아로 존재할 수는 없다. 그러나 단순히 주체가 타자 를 의식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타자들이 중심에 오고 그 타자들을 통해 서 주체의 존재를 증명해내야 하는 상황이나, 외부의 것을 따르도록 강 요받는 관계는 균형적이지 못하다. 진정한 창극의 양식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는 서구극, 오페라나 오페레타, 뮤지컬, 판소리와의 비교 속에 서가 아니라, 타 장르와의 관계를 유지하되 다양하고 멋진 창극 작품들 안에서 발견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1900년대~1910년대 연극 개량론의 내용 개량 요구
3. 1930년대 조선성악연구회 창극과 가극(오페라) 형식
4. 해방 후~1970년대 민족예술로서 국극의 과제: 판소리 전통의 회복
5. 1970년대 말~1980년대 중반 창극의 독자성에 대한 각성
6.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보여주기 위한’ 창극의 세계화 요구
7.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토론문

저자정보

  • 이진주 Lee, Jin-ju. 서울대학교
  • 백두산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