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문화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원문정보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of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 and Related Variables

김민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stablished a structural model, in which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 are independent variables, work volition and decent work are mediation variables, and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 is a dependent variable, and examined the model’s goodness of fit and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multicultural youth aged between 25 and 34 (born in Korea or immigrated) across the country.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research model explains the data appropriately. In addition, all major paths except the direct path from career barrier to life satisfaction and decent work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 analysis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mediated by work volition and decent job on life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on effects of work volition and decent job were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work volition, and decent job explained for approximately 43% of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 and related variables were determined comprehensively. Lastly, based on the study findings, suggestions are made for further studi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년들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진로장벽을 독립변인, 일 자유 의지와 괜찮은 일자리를 매개변인,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가정한 구조모형을 설 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개별 변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전국에 거 주중인 25세 이상에서부터 34세 이하까지의 다문화 청년(국내출생, 중도입국)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연구모형이 자료를 적합하게 설 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장벽에서 삶의 만족도와 괜찮은 일자리로 가는 직 접 경로를 제외한 주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사회적지 지가 일 자유의지, 괜찮은 일자리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 또 한 유의하였다. 반면, 진로장벽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일 자유의지와 괜찮은 일자리 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지지, 일 자유의지, 괜찮은 일자리 는 삶의 만족도의 약 43%를 설명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일의 심리학 이론
2. 진로장벽, 사회적지지와 주요연구 변인들의 관계
3. 일 자유의지, 괜찮은 일자리, 삶의 만족의 관계
4. 일 자유의지와 괜찮은 일자리의 매개효과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절차
2. 측정 도구
3. 자료분석
Ⅳ. 결과
1. 상관 및 기술통계
2. 측정모형 검정
3. 구조모형 검정
4. 매개효과 검정
V.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민선 Kim Minsun. 단독저자, 단국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